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정선아리랑

작성일2023.10.15

조회수69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통속민요 '강원도민요 중 정선아리랑'[2023.08.]
  • 설명

    ○ 2011 토요명품공연: 명인명품프로그램[04.09.]의 두 번째 프로그램 ○ 프로그램 해설 경기민요는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불려져 온 민요로서, 굿거리·자진타령·세마치 등 흥겹고 경쾌한 느낌을 주는 장단이 많이 쓰인다. 또한 맑고 깨끗한 발성으로 음의 진행이 도약이 많지 않고, 위 아래의 가까운 음으로 진행하여 마치 '물찬 제비'를 떠올리게 한다. 아리랑은 우리 민요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노래다. 일제강점기 동안 억눌려 왔던 우리 민족의 감정과 분노를 아리랑에 얹어 호소했던 까닭에 구전민요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고 한다. 지역에 따라 <긴아리랑>, <해주아리랑>, <진도아리랑>, <정선아리랑>, <밀양아리랑>, <강원도아리랑> 등 가사와 곡조에 차이가 있다. 구아리랑은 신조 아리랑이 생겨난 뒤에 이전부터 부르던 아리랑과 구별을 위해 이름 한 것이다.

  • 인물정보

    ○ 노래/이춘희‧이호연(객원) ○ 반주/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피리/황광엽, 대금/원완철, 해금/김정림, 가야금/박준호, 아쟁/윤서경, 장구/강형수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08300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통속민요 '강원도민요 중 정선아리랑'[2023.08.]"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