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Info


금요공감-소리 숲의 '소리 숲 길'

  • Period

    2016-03-04 ~ 2016-12-02

  • Dates

    go

  • Venues

    Pungnyu Sarangbang

  • Host

    National Gugak Center

  • Duration

    60Min

  • Price

    ALL 20,000 won

    [이벤트 할인]
    - 아트필 40%할인-프로모션 문자 또는 명단 확인(본인한정)
    - 릴레이티켓 30%할인-풍류사랑방 티켓소지자(1매1인)

    [50% 할인]
    - 경로우대자(1인 2매)
    - 국가유공자(1인 2매)
    - 장애인(1인 2매)
    - 문화누리카드 소지자(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 으뜸회 won(공연당 5매)
    - 한국교총회 won(1인 2매)

    [30% 할인]
    - 문화 패스(만7세~24세/대학생)
    - 버금회 won(공연당 5매)
    - 병역이행명문가(1인 2매)
    - 예술인 패스 소지자

    [20% 할인]
    - 문화릴레이티켓 소지자(1인 2매)
    - 문화융성카드 결제자
    - 산모카드, 다둥이 행복카드 소지자
    - 일반 20명 이상 단체

    ** 중복 할인 불가
    ** 할인적용 시 신분증 및 복지카드 지참
    ** 미지참 시 현장 차액발생

  • For Inquires

    02-580-3300

List

Details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 금요공감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금요공감

안내

전체 공연일정 :
2016년 3월 4일 ~ 12월 2일 금요일 오후 8시
장소 :
풍류사랑방
관람료 :
전석 2만원
문의 및 예매 :
02-580-3300
www.gugak.go.kr
인터파크 :
1544-1555
www.interpark.com

예술 그리고 예술, 넘나듦의 시공간 자연음향으로 감상하는 우리음악

5월 13일(금) 오후8시

소리의 숲 길

출연

우리소리연구회 소리 숲

피리: 김지윤, 해금: 노은아, 피아노: 이수연, 바이올린: 김정수, 바리톤: 김종표, 드럼: 최승현, 구성: 윤효진, 연출 및 안무: 정은주

우리소리연구회 소리 숲

우리소리연구회 소리 숲은 서양악기에 맞춰 작곡되거나 편곡되는 퓨전 음악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전통음악의 품안에서 궁중음악과 민속음악을 서양악기와의 협연을 통해 소리 숲만의 맑고 깊은 소리를 표현하고자 하는 단체이다. 2014년 9월 창단, 전통음악을 시작으로 서양의 클래식음악 및 여러 장르의 음악으로 점차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더불어 현대무용가인 헤케이브 정은주 컴퍼니 대표인 정은주의 연출과 함께 소리를 움직임으로 그려내는 공동작업을 해오고 있다.

<모던세븐> 안무 정은주, 태평소 김지윤, 드럼 최승현

공연소개

우리소리연구회 소리 숲이 이번에 선보이는 '소리의 숲 길'은 한국전통악기와 서양악기가 함께 융합된 사운드에 움직임의 표현이 더해져 5월의 봄바람을 타고 흐르는 화사하고 잔잔한 숲 길의 소리를 그려낸다.

? 2015년 한국평론가협의회 심사위원 선정 특별예술가상 수상

? 우리소리연구회 소리 숲 & 헤케이브 정은주 컴퍼니 팸스링크 선정작 '바람의 합주'

? 우리소리연구회 소리 숲 창단연주회 '소리의 향연'

프로그램

1. 봄의 소리 숲 길 '5월의 바람'

장미꽃이 활짝 핀 5월의 바람이 숲을 감싼다. 볼 수는 없지만 느낄 수 있는 그 5월의 바람을 소리의 몸짓으로 그린다.

2. 태평가 (경기민요)

태평가는 굿거리장단에 맞춰 불리던 경기민요로 <창부타령>을 변주한 선율이 정착되어 지금까지 불려진다. 경기민요는 다른 지역의 민요에 비하여 맑고 깨끗한 음색에 경쾌하고 흥겨운 것이 특징이다.

3. 들장미 D.257, Op.3-3 (슈베르트)

슈베르트 가곡 들장미는 괴테의 시에 곡을 붙인 노래이다. 1829년에 작곡된 두 도막 형식의 2부 합창곡으로 작곡되었다.

4. 해령 (궁중음악)

한국의 전통음악 중 궁중음악인 해령(解令)은 여민락 령의 가락을 풀어서(解) 연주한다는 의미로 '서일화지곡(瑞日和之曲)'이라고도 불린다. 조선시대 궁중의 연례악이나 행악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당피리가 중심이 되며 피리가 쉬는 동안에는 다른 악기들이 연주하는 연음형식으로 느린 선율에 자유로운 리듬이 어우러져 장엄하고 유장한 느낌을 주는 곡이다.

5. 해령진무

해령진무는 왕의 군림보(君臨步)를 <해령>에 맞춰 현대무용의 몸짓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한다.

6. My Heart Will Go On (타이타닉 OST)

My Heart Will Go On은 1997년 영화 <타이타닉>의 주제가로 아카데미 주제가 상을 수상한 곡이다. 영화 OST 역사상 베스트셀러로 기록되었으며 이 주제곡을 부른 셀린 디온의 가장 큰 히트곡이기도 하다. 한국전통악기와 서양악기의 어우러짐이 대중들에게 새로운 감성으로 다가갈 것이다.

7. All I Ask of You (오페라의 유령 OST)

1986년 영국 런던에서 초연된 작곡가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 중 남녀 주인공이 듀엣으로 부르는 사랑의 노래이다.

8. Nella Fantasia (미션 OST)

1986년 영화 <미션>의 테마 곡으로 원제목은 '가브리엘의 오보에(Gabriel's Oboe)'로 엔리오 모리코네가 작곡하였으며 1998년 사라 브라이트만이 이탈리아어 가사를 붙여 부른 노래의 제목이다. 영화 속 아프리카 원시 밀림에 사는 원주민들에게 오보에선율을 들려주는 장면에 나왔던 아름다운 멜로디를 연주한다.

9. 그리운 금강산 (최영섭곡)

그리운 금강산은 1961년 작곡가 최영섭이 한상억 시인의 <그리운 금강산>이라는 시에 곡을 붙인 곡으로 분단으로 인해 더 이상 금강산에 갈 수 없는 심경을 표현한 곡이다. 봉우리가 1만2000개로 수많은 계곡과 기암괴석 그리고 계절마다 이름이 바뀌는 아름다운 봄의 금강산 절경을 표현한다.

10. 월광진무

월광진무는 베토벤 <월광 소나타>를 한국전통악기와 서양악기가 연주하는 선율과 함께, 달이 선사하는 빛을 길 삼아 그 위를 거닐며 또 다른 소리의 길을 찾아가는 여정을 몸짓으로 표현한다.

국립국악원

(06757)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남부순환로 2364 국립국악원

Copyright 2016. National Gugak Center. All rights reserved

국립국악원 바로가기 인터파크 바로가기 유튜브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