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연상세정보 | 공연정보 | 국립국악원

공연/행사정보

이선유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 복원 및 재현

이선유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 복원 및 재현

  • 공연기간

    2014-10-03(금) ~ 2014-10-03(금)

  • 공연일시

    이동
  • 공연장소

    풍류사랑방

    관람시간

    90분

  • 주최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 주관

    이선유 판소리 복원 연주단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예술위원회

  • 문의전화

    010-2761-7887

    관람등급

    8세 이상(2017.12.31 이전 출생자)

공연상세

가격/할인정보

전석초대

상세내용

-프로그램-


Opening  - 단가 <역대가>                                                                       / 김문희

               - 이선유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 복원 및 재현 작업에 대하여          / 최난경


본 공연    - 이선유 <춘향가>에 대한 소개

              - <춘향가> '앉았다 일어서,백백홍홍'                                           / 문수현

                               '퇴령소리'                                                                / 김문희

                               '이별가'                                                                   / 문수현

                               '홍로의 무든 불, 어사또 급한 마음'                             / 이선희

              - 이선유 <적벽가>에 대한 소개

              - <적벽가> '공명의 제장 분발,관우의 항의'                                  / 노민아


              - 이선유 <수궁가>에 대한 소개

              - <수궁가> '녹수청산'                                                                / 김문희

                              '팥난세계'                                                                 / 박민정

                              '천양지간'                                                                 / 이선희

                              '토끼 비는데'                                                             / 박민정

                              '토끼의 수궁 탈출'                                                     / 노민아


* 위의 소리들은 모두 박명언의 북과 함께 공연합니다.


Closing      이선유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 재현 공연의 취지 및 의의           / 최난경




-이선유 명창과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


지조 있는 소리꾼, 이선유

이선유(1873-1949)는 경남 하동 출신의 동편제 명창으로 국창의 반열까지 오른 훌륭한 명창이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때 동편제의 향유층이 양반사대부에서 일반 대중으로 바뀌게 되면서 이선유의 소리는 기로에 서게 된다. 이러한 격변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도 이선유는 끝까지 동편제 소리의 지조를 지킨다. 그 결과 이선유는 대중들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하게 되었고, 진주권번 소리선생을 하면서 제자 양성에 애썼지만 정작 자기 소리를 잇는 제자를 두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이선유는 인생 말년에 가서 소리의 가치를 인정받아 무려 1시간 20분 분량의 음반을 내고, 판소리 명창으로는 최초로 자신이 부른 판소리 다섯 마당이 온전히 담겨있는 '오가전집' 이라는 창본을 남기게 된다. 이선유의 말년에 비로소 탄생한 음반과 창본은 옛 동편제 소리의 유일한 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

동편제는 교통이 불편하던 시절, 섬진강 동쪽 지방에서 송흥록의 법제를 중심으로 전승되던 소리제로 기교는 적게 쓰고 웅장하고 힘찬 소리를 내는 것이 그 특징이다. 흔히 동편제라고 하면 전라도 동쪽 지방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경상도 서남쪽 지방도 과거에는 동편제 지역이었다. 이선유가 태어난 하동은 이선유,유성준과 같이 걸출한 동편제 명창을 두 명이나 배출한 동편제 고장이요, 이선유가 활동하다 세상을 떠난 진주도 역시 동편제의 창시자인 송흥록을 비롯한 기라성과 같은 동편제 명창들이 활동하던 고장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이선유, 유성준, 송만갑 등의 동편제 명창 밑에서 신숙, 오비취, 김수악 등의 여류 명창이 배출되기도 하였다. 진주 사람들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아침이면 진주 남강 변이나 비봉산 자락에서 소리꾼(기녀)들이 목 푸는 소리를 들었노라고 회상하곤 한다.




-출연진 및 스텝-



최난경 (단장·연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대학원 졸업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학박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역임

-판소리학회 학술상 수상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동편제와 서편제 연구)

-진주 시민을 위한 독서골든벨 우수도서 선정(명창 이선유)

-이선유 판소리 복원 연주단 단장



소리 김문희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대학원 재학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춘향가> 이수자

-전주 대사습 일반부 은상

-국립국악중학교 전임강사

-이선유 판소리 복원 연주단 단원


소리 이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및 동대학원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대학원 판소리전공 박사

-목포 전국 국악 경연대회 판소리 명창부 최우수상

-2014 <강도근제 흥보가> 완창 발표회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강사


소리 박민정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대학원 졸업

-구례 동편소리 축제 <흥보가> 공연

-박민정 <만정제 춘향가> 코우스 공연

-이선유 판소리 복원 연주단 단원


소리 노민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박사과정 재학

-광주무형문화재 제15호 판소리 동편제 <춘향가> 이수자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적벽가> 전수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출강

-이선유 판소리 복원 연주단 단원


소리 문수현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수석졸업

-전국 남도 민요 경창대회 최우수상 수상

-창작판소리 '판소리 딴소리', 충무아트홀 외 공연

-국립국악원, 국립극장 소속 강사

-이선유 판소리 복원 연주단 단원


북 손정진(하동공연)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 고법 전수자

-중요무형문화재 제82-1호 동해안별신굿 이수자

-KBS 민속 반주단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출강


북 박명언(서울공연)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적벽가> 이수자

-구례 전국 국악 경연대회 판소리고법 일반부 최우수상

-완도 전국 국악경연대회 판소리 일반부 최우수상

-이선유 판소리 복원 연주단 단원


관람후기

0건 (1 / 0페이지)
관람후기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해당 게시물이 없습니다.

기대평

기대평작성

공연장정보

풍류사랑방 좌석배치도, 총 130석, 장애인석 제외
							일반석: 일반 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석(휠체어석) : 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을 의미합니다.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열, 나열, 다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과 나열 사이, 나열과 다열 사이에 1층 출입구가 1개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가열 1행 1~6번, 2행 7~13번, 3행 14~20번, 4행 21~27번, 5행 28~33번, 6행 34~38번의 좌석이 있습니다.
							나열 1행 1~7번, 2행 8~15번, 3행 16~23번, 4행 24~33번, 5행 34~43번, 6행 44~54번 의 좌석이 있습니다. 7행은 장애인석(휠체어석)으로 최대 10대의 휠체어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열 1행 1~6번, 2행 7~13번, 3행 14~20번, 4행 21~27번, 5행 28~33번, 6행 34~38번의 좌석이 있습니다.

풍류사랑방 좌석배치도, 총 130석, 장애인석 제외

일반석: 일반 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석(휠체어석) : 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을 의미합니다.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열, 나열, 다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과 나열 사이, 나열과 다열 사이에 1층 출입구가 1개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가열 1행 1~6번, 2행 7~13번, 3행 14~20번, 4행 21~27번, 5행 28~33번, 6행 34~38번의 좌석이 있습니다.

나열 1행 1~7번, 2행 8~15번, 3행 16~23번, 4행 24~33번, 5행 34~43번, 6행 44~54번 의 좌석이 있습니다. 7행은 장애인석(휠체어석)으로 최대 10대의 휠체어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열 1행 1~6번, 2행 7~13번, 3행 14~20번, 4행 21~27번, 5행 28~33번, 6행 34~38번의 좌석이 있습니다.






예매유의사항

예매방법

※ 예매, 공연 정보 등은 위의 ‘문의전화’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i예매취소 및 환불방법

예매취소 및 환불 방법 표 - 예매방법, 인터넷 예매, 전화예매, 방문예매로 구성됨
예매방법 인터넷 예매 전화예매 방문예매
취소방법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마이페이지에서 취소
계좌 입금 시, 본인 명의
계좌번호 기재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예매자 본인 명의의
계좌번호로 일주일 이내 환불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
공휴일,일요일 휴무)
관람권(티켓) 지참 필수
취소변경
가능시간
   공연 전일 18시까지
   ※ 패키지 티켓: 패키지 첫 공연 시작 전날 18시까지 취소/환불
   ※ 해당 시간 이후, 변경/취소/환불 불가
유의사항

   - 환불 금액 입금은 영업일 기준 3~5일 정도 소요됩니다.
     예금주와 계좌번호가 다를 경우, 환불 처리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 부분 취소·좌석변경은 불가능하며, 전체 취소 후 다시 예매해야합니다.
   - 관람권(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 및 훼손의 경우, 재발행 및 취소/환불/변경 불가합니다.
   - 초대권은 환불 및 변경이 되지 않습니다.
   - 국립국악원 회원 가입 시, 마이페이지에서 예매내역을 확인·관리할 수 있습니다.

출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