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생황

  • 작성일2014-11-16

【정의】 여러 개의 대나무관이 통에 꽂힌 다관식(多管式) 관악기의 총칭.

【이칭(異稱)】 화(和), 소(簫), 우(?), 화생(和笙), 소생(巢笙). 우생(?笙)

【유래 및 역사】 고구려와 백제 음악에 사용되었으며, 통일신라 시대에 주조된 상원사(上院寺) 동종(銅鐘)의 주악비천상(奏樂飛天像)에 보인다.

【형태, 기능 및 특징】 동시에 두 음 이상의 음을 내는 화성 효과를 지닌, 17개의 관(管)으로 구성된 관악기.

【내용】 생황은 아악기(雅樂器) 팔음(八音) 중 포부(匏部)에 속하지만, 아악(雅樂) 외에 당악(唐樂)과 향악(鄕樂)에도 편성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풍류방에서도 연주된 다관식(多管式) 관악기이다. 생(笙), 화(和), 우(?) 또는 이들을 통틀어 생황이라 한다. 악기 분류법에 의하면 생황은 포부(匏部)에 들며, 조선 초기 악기의 몸통에 꽂힌 죽관(竹管)의 수에 따라서 화(13관), 생(17관), 우(36관) 등으로 구분되었으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주로 17관의 생황이 쓰여 현재에 이른다.

연주할 때는 먼저 가슴을 곧게 펴고 배를 안쪽으로 끌어당겨 호흡하기 편한 자세로 앉은 다음, 두 손바닥을 합쳐 생황의 통 아랫부분을 감싸 쥔다. 관대는 약간 오른쪽으로 기울이고, 취구(吹口)에 입김을 불어넣을 때는 입술을 옆으로 당기면서 작게 오므려 바람이 새지 않도록 한다. 들숨과 날숨이 대나무 관대 안에 들어있는 금속제 리드를 올려 그 진동으로 소리를 낸다.

 생황은 고구려와 백제의 음악 연주에 사용된 악기였다는 기록이 『수서』나 『당서』에 적혀 있고, 통일신라 시대에 주조된 상원사(上院寺) 동종(銅鐘)이나 몇 가지의 불교 조각품에서 모습을 볼 수 있다. 고려 시대에는 궁중음악에 편성되었는데, 고려 초기(1076)의 음악 기관 기록에는 대악관현방(大樂管絃房)에 생 전공자가 소속되어 있었다 하고, 예종(睿宗) 9년(1114)과 예종 11년(1116)에는 북송(北宋)으로부터 연향악(宴享樂)에 쓸 생과 제례악에 사용될 소생, 화생, 우생이 들어왔다 한다. 그러나 『고려사』 「악지」의 ‘당악(唐樂)’에 생, 우, 화 등이 소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생황이 연향에 쓰인 일은 드물었던 것 같다. 주로 아악(雅樂) 연주에 편성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우리나라에서 생황을 직접 제작하기도 하고 중국에서 수입해 쓰기도 했는데, 이때 생황은 궁중의 제례(祭禮)와 연향(宴享)에 지속적으로 편성되었다.

선 후기 신윤복의 풍속화 중 기생들이 생황을 연주하는 모습이라든가, 김흥도의 <포의풍류도>를 비롯한 여러 그림, 그리고 민화에 생황이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0세기 초에 풍류방(風流房)의 음악 전통이 급격히 수그러들면서 생황 연주의 수요는 다른 악기보다 더 빠르게 사라졌다. 주로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에서 활동한 관악기 전공자들이 부전공처럼 생황을 연주했으며, 그 전통이 현재의 국립국악원으로 이어졌다.

 생황은 주로 단소를 곁들여 가곡의 관악 선율을 연주한다. 생황과 단소 이중주(二重奏)인 생소병주(笙蕭竝奏)의 대표적인 곡명은 <수룡음>, <염양춘> 등이다.

【필자】박소현

【참고문헌】『고려사』

『국역악학궤범』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80.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 한국국악학회, 1969.

이혜구, 『신역악학궤범』 서울: 국립국악원, 2000.

송혜진, 『한국악기』 서울: 열화당, 2001.

志村哲男, 「韓國에 있어서의 笙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