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풍물장구

  • 작성일2014-11-16

【정의】 풍물놀이[농악]에 편성되는 타악기 장구.

【이칭(異稱)】 악 장구, 설장구, 사물 장

【형태, 기능 및 특징】 악 장구보다 크기가 작고, 풍물놀이에서 어깨에 둘러메고 치는 장구.

【내용】 풍물놀이[농악]에 편성되는 장구. 장구는 국악에서 두루 편성되기에 쓰임에 따라 크기와 형태, 명칭이 각각 다르다. 풍물 장구는 풍물놀이에 편성되어 꽹과리만큼 주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장구재비, 북재비, 징잡이들이 저마다의 기량을 한껏 뽐내는 구정놀이에서 설장구놀이에 사용되어 ‘설장구[상장구 혹은 수장구]’라고도 하며, 사물놀이에 편성되면 ‘사물 장구’라고 한다.

 장구는 용도에 따라 공명통의 길이와 북통의 크기가 다르다. 물 장구는 정악(正樂)에 사용하는 정악 장구보다 좀 작다. 색깔과 모양, 장식 역시 장구의 용도에 따라 다른데, 『악학궤범』에 설명된 것처럼 궁중에서 사용된 것은 매우 화려한 반면, 생활 속에서 사용되어 온 풍물 장구 등은 별달리 치장하지 않았다.

 궁중음악 및 노래 반주로 장구를 칠 때는 대나무를 가늘게 깎아 만든 장구채를 오른손에 쥐고 채편의 복판이나 변죽을 친다. 이때의 채는 특별한 명칭 없이 ‘채’ 또는 ‘장구채’라고 한다. 그러나 풍물놀이나 굿에서는 장구의 북편과 채편을 모양이 조금 다른 두 가지의 채로 치기 때문에 이를 구분해 부른다. 채편을 치는 ‘열채’는 보통 장구채와 다를 바 없고, 북편을 치는 ‘궁채’는 열채보다 조금 짧고 굵은 대나무 막대 끝에 나무 추를 달아 친다.

 풍물 장구의 연주법은 주로 풍물놀이 및 사물놀이에 사용되는데 열채와 궁채를 이용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연주법을 구사할 수 있다. 열채 연주법은 채를 한 번 울려 치는 외가락 기법과, ‘기덕’ 또는 ‘다드락’과 같은 겹가락, 또는 ‘더러러러’와 같은 굴려 치기 주법 등이 있다. 풍물 장구에서만 사용되는 궁채는 오른손에 쥔다. 이때 손잡이 끝부분을 손바닥과 엄지 사이에 끼우고 아랫부분은 무명지와 새끼손가락 사이에 끼워 반 주먹을 쥐듯이 잡는다. 궁채는 주로 팔을 위아래로 움직이거나 손목과 손가락을 돌리면서 치는데, 이 밖에 궁채를 채편으로 옮겨 치는 ‘넘겨 치기’ 주법이 있다. 넘겨 치기를 할 때는 최단시간 안에 최단거리를 활용하는 팔의 동작으로 탄력 있고 균형 잡힌 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

【필자】박소현

【참고문헌】송혜진, 『한국악기』 서울: 열화당, 2001.

국립국악원, 『한국음악 27-사물놀이』, 국립국악원, 1992.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