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 작성일2014-11-16

【정의】질그릇처럼 생긴 타악기.

【형태, 기능 및 특징】아악(雅樂)의 팔음(八音) 중 토부(土部)에 드는 흙으로 만든 타악기로 아악의 헌가(軒架)에 편성.

【내용】부는 아악(雅樂)의 팔음(八音) 중 토부(土部)에 드는 타악기로 아악의 헌가(軒架)에 편성된다. 예전에는 음 높이가 있는 부를 여럿 만들어 선율을 연주한 적도 있지만, 현재는 특별한 음정 없이 단순한 타악기로 사용되며, <문묘제례악>에만 편성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부터 제례악 연주에 편성되었던 기록이 있고, 세종 때에는 중국 악서(樂書)의 내용을 참고하여 음높이가 서로 다른 부를 만들어 아악의 음률을 연주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세종 때부터 성종 때까지 아악 연주에는 10개의 부가 편성되어 10명의 연주자가 이를 연주했으며, 『악학궤범』에는 음이 서로 다른 부를 만들 때 진흙을 빚는 두께로 그 음정을 조절한다고 기록했다. 이후로는 아악 편성에 부가 10개씩이나 편성된 예가 사라졌다.

 부의 바닥은 평평하며 위쪽의 지름이 31.3㎝, 높이가 23~24㎝ 정도이다. 겉면은 훈처럼 검은색 유약을 발라 윤기를 내고, 안쪽은 붉은 색으로 칠한다. 부를 치는 채는 대나무로 만든다. 손잡이 부분은 그대로 두고 아래쪽 29.5㎝ 가량을 9가닥으로 갈라 쪼갠다. 부를 연주할 때는 화분 받침대같이 생긴 낮은 나무상 위에 올려놓고 친다.

 연주자가 오른손에 대나무채를 쥐고 부의 가장자리를 두드린다. 특별한 연주 방법은 없으며, <문묘제례악>에서는 각 음마다 ‘탁 탁 탁 타다다다…’ 하는 식의 일정한 패턴을 반복해서 1번씩 친다.

【필자】박소현

【참고문헌】『증보문헌비고』

『국역악학궤범』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80.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 한국국악학회, 1969.

이혜구, 『신역악학궤범』 서울: 국립국악원, 2000.

송혜진, 『한국악기』 서울: 열화당, 200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