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말붙임새

  • 작성일2014-11-16

【정의】노랫말을 붙여놓은 모양새.

【내용】노랫말이 붙어있는 모양이 노래의 기본적인 리듬꼴이 된다. 판소리에서가사붙임새라는 말을 써왔으며, 이것이 민요나 다른 장르에 확대되면서 ‘말붙임새’로 바뀌어 사용되고 있다. 말붙임새는 장단에 따라, 악곡에 따라, 속도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며 음악적 표현을 다양하게 만들기 위해서도 변화될 수 있다.

 민요는 기본적으로 1장단에 4·4조나 3·3조의 가사가 붙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가운데 4·4조가 가장 많고 3·3조는 황해도 민요와 일부 경기민요에 나타날 뿐이다. 향토민요는 대부분 이러한 율격이 잘 지켜지지만 통속민요는 이러한 규칙을 벗어난 경우가 많다.

 4·4조는 4글자 4글자의 단락으로 가사가 구성되는데 ‘달아달아/밝은달아’와 같다. 그러나 모든 민요 가사가 정형시가 아니므로 조사에 의해 글자 수는 늘어나기도 하고 줄어들기도 한다. 4·4조의 형태 가운데 가장 적은 글자 수를 사용하는 경우는 ‘강강술래’와 같이 4글자로 줄어든 경우이다. 또한 많이 확대된 경우로는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간다’나 ‘문지기 문지기/ 문열어 주소’와 같은 경우이다. 글자 수는 1장단에 적게는 4글자에서 많게는 12글자에 이른다. 느린 장단이거나 굿거리처럼 음을 쪼개는 경향이 있는 경우 가사의 글자 수도 늘어나며, 반면 자진모리와 같이 빠른 장단은 가사의 글자 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표 1> 4·4조 가사 붙임의 사례(위: 긴강강술래, 중간: 강강술래, 아래: 대문열기)

 

 

 

 

 

 

 

 

 

 

 

 

 

3·3조는 ‘능수야 / 버들은’, ‘물올라 / 가누나’와 같은 3글자 단위의 가사가 첫 박과 둘째 박에 한 덩어리씩 붙고 나머지는 비어 있는 구조로 붙는다.

<표 2> 3·3조 가사 붙임의 사례(위: 천안삼거리, 아래: 용두레질소리)

- 들

 

 

 

 

 

 

 

 

 

 

 

동일한 3소박 4박자의 장단이라도 장단에 따라 말 붙임새가 달라진다. 또 속도가 느릴수록 처음 시작하는 가사는 붙여서 부르는데, 이는 어단성장(語短聲長)이라 하여 단어가 붙어야 가사 전달이 쉽기 때문이다.

<표 3> 느린 속도와 빠른 속도의 말 붙임새 비교(위: 쾌지나칭칭나네, 아래: 자진쾌지나칭칭나네)

 

 

 

 

 

 

또한 장단의 기본적인 말 붙임새를 벗어나 간혹 색다른 말 붙임을 사용하는 경우도 발견된다. 굿거리나 중중모리와 같은 장단에서는 3소박 단위로 가사 붙지 않고 2소박 단위로 가사가 붙여지는 경우들이 있으며, 이 경우 음악도 일시적으로 2+2+2+3+3의 구조로 리듬과 강세가 변화한다.

<표 4> 2소박 단위의 말 붙임새(위: 한강수타령, 아래: 태평가)

 

 

 

 

 

 

- 씨

 

상관

없이

세마치장단이나 중모리장단의 경우에도 위와 같은 말 붙임새의 원칙이 적용된다. 다만 확대된 장단들이므로 4·4조가 붙는 단위가 클 뿐이다.

<표 5> 세마치의 말 붙임새(아리랑)

 

 

 

 

 

 

 

 

 

 

 

 

 

 

 

 

 

 

 

 

 

 

 

 

 

 

 

판소리는 훨씬 다양하고 복잡한 말 붙임새를 사용한다. 또한 민요에서도 박자가 확대되거나 늘어나는 경우, 악곡별로 독특한 리듬꼴이 있는 경우 위의 예시와 맞지 않는 붙임들이 발견된다. 그러나 어떤 곡이던지 말 붙임새의 전형적인 형태가 주축이 되고, 그것을 벗어난 변형들이 어울려져야 음악적 통일성과 반복감을 줄 수 있다.

【필자】김혜정

【참고문헌】김혜정, 『개정판 초등국악교육의 이해와 실제』, 민속원, 200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