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향토민요

  • 작성일2014-11-16

【정의】통속민요나 신민요와 구별하여 구비 전승되어 오는 민중의 노래, 민요를 일컫는 말.

【이칭(異稱)】토속민요, 구전민요, 전승민요, 전통민요.

기능에 따라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 등으로 분류하여 표현하기 함. 

【유래 및 역사】본래 민요라 하면 민중의 노래라는 의미이나 20세기 초반 민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통속민요와 새로이 민요풍으로 작곡된 신민요와 구별하여 기존의 민요를 향토민요라 부르게 되었다.

【내용】민요는 민중들에 의해 형성, 발전, 향유되는 가락과 사설과 기능이 융합된 노래이며, 대개 작곡, 작사자가 알려져 있지 않고 구비 전승(口碑 傳承)되어 오는 노래이다. 향토민요의 개념과 특징으로 이야기되는 것들을 중심으로 그 성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을 직업으로 하지 않는 민중들 생활의 필요에 의해 스스로 부르고, 즐기는 자족적 성격이 강하다. 직업 음악인이 아닌 까닭에 민요는 음악적으로 단순하고 소박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생활 속의 필요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일정한 기능을 가지게 된다.

 둘째, 전통적인 창작 기법에 의한 변용, 그리고 외부 음악의 전파, 수용, 변용 등을 통해 새로운 민요가 끊임없이 만들어지며, 만들어진 민요는 계속 개작되고 변화된다. 이처럼 변화하는 속성은 기록이나 악보 없이 구비 전승되기 때문에 더욱 촉진된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일정한 창작자가 없는 공동작이거나, 창작자가 있다 해도 문제 삼지 않는다. 앞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특별한 창작자가 있다 하더라도, 그 곡이 민요화되기 위해서는 많은 민중들의 공감대와 개작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개성이나 개인적인 창작은 의미를 두지 않는다.

 넷째, 민중들의 생활과 정서를 담고 있기 때문에 민족적, 계층적, 지역적인 고유성을 지닌다. 민요는 다른 민족과 구별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계층적으로는 서민적이고 기층적이며, 지역적으로도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다섯째, 민요는 기능, 악곡, 사설로 구성되며 모두 유동적으로 열려있는 구조이다. 기능은 대부분 민중의 생활과 관련이 깊다. 악곡과 사설은 나름대로의 시대를 한정하지 않는 통사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를 통해 민족적이고 계층적이고 지역적인 고유성을 드러낸다. 향토민요는 20세기 이전부터 계속 이어져왔을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20세기에 생성 경우도 있다.

 여섯째, 향토민요의 음악적 특성은 유동성이 강하다는 점에서 기록된 궁중음악이나 양반 음악과 다르며, 또한 작곡자와 작사자가 있는 음악과도 다르다. 가창자가 음고(Key)와 속도, 박자 구조와 선율 형태, 시김새와 말 붙임새, 가사의 내용 등 모든 요소들을 노래하는 상황과 정서에 맞게 선택한다. 따라서 동일한 창자가 노래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요소들은 매번 달라진다. 여러 사람이 함께 노래할 때에는 소리를 메기는 사람이 이러한 요소를 먼저 소리로 제시하게 되며, 나머지 사람들이 그것을 따르게 된다.

 향토민요는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 등 기능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여러 기능의 노래가 전승된다는 의미이다. 대표적인 향토민요로는 노동요 가운데 논일과 관련된 모심는소리와 논매는소리, 어업노동요인 노젓는소리와 가래소리, 배치기소리, 이외에 기타 노동요들과 상여소리를 비롯한 의식요, 강강술래, 월워리청청 등의 놀이요를 비롯한 각종 유희요와 전래동요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같은 기능의 노래라도 지역에 따라 악곡이 달라지므로 상당한 양의 민요가 전승되고 있다.

【필자】김혜정

【참고문헌】김혜정, 「민요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음악학적 논의,『한국민요학』7집, 한국민요학회, 1999.

김혜정,『개정판 초등국악교육의 이해와 실제』, 민속원, 200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