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쥔쥐새끼

  • 작성일2014-11-16

【정의】전라남도 진도와 해남 등지에서 긴 대열의 끝 사람을 떼어 내는 놀이를 하며 부르는 노래.

【이칭(異稱)】진도와 해남에서는 떼어내는 대상이 쥐이기 때문에 쥔쥐새끼, 또는 문쥐새끼라 부름. 따는 대상에 따라 꼬리따기, 외따기, 동애따기, 송아지따기, 군사놀이 등으로 불림.

 【유래 및 역사】쥔쥐새끼 놀이를 하는 지역이 꽤 넓은 편이어서 놀이 방법도 여러 가지이고, 지역마다 부르는 노래도 다르다.

【내용】쥔쥐새끼는 긴 대열의 끝 사람을 떼어 놓는 놀이를 하며 부르는 노래로 따는 대상이 꼬리, 외, 동애가 되기도 하고 송아지나 군사가 되기도 하며 그 대상에 따라 제목이 달리 불린다.

놀이 방법도 하나의 줄로 선두가 줄의 끝 사람을 잡기도 하고, 두 개의 줄이 서로의 끝을 잡기도 하며, 또 한 사람이 줄의 끝을 잡으러 뛰어다니는 경우도 있다. 또 대문 열기 놀이를 하고 잡힌 사람을 뒤에 달아두었다가 꼬리따기 놀이로 이어서 하는 경우도 있다.

 진도와 해남에서는 ‘쥔쥐새끼 찔룩 짤룩 가사리 벗이요’라는 노래를 반복하여 부른 후에 ‘휘이!휘이!’라는 소리로 쥐를 몰아서 꼬리 따기를 격렬하게 한다. 그리고 꼬리를 잡은 이후에는 느리고 유장한 ‘쥔쥐새끼’노래를 부른다. 느린 ‘쥔쥐새끼’는 ‘잡았네 잡았네 쥔쥐새끼를 잡았네 콩한나 퐅한나 땡겼더니 오곡 백곡이 절씨구’라는 가사로 되어 있는데, 콩과 팥을 하나씩 던졌더니 오곡 백곡이 무성하게 자라났다는 풍요의 절정을 표현한 것이다.

앞서 부르는 ‘쥔쥐새끼’는 꼬리 따기 이전에 쥐새끼의 모양을 흉내 내며 노는 놀이이다. 긴 줄을 만들어 앞 사람의 허리를 잡고 등을 엎드려서 엉덩이를 ‘찔룩룩’ 흔들면서 걸어 다닌다. 그러다가 선소리가 ‘왜때기따세’라고 외치면 각 줄의 선두가 다른 줄의 꼬리를, 또는 자신의 꼬리를 잡는다. 꼬리를 딴 후에 다시 느린 노래를 부르는데, 이때 선두에 선 사람이 잡은 꼬리에 해당하는 사람을 목마 태우기도 한다. 꼬리가 외나 동애 같은 농산물이라 본다면, 소중한 수확물이기 때문에 목마를 태우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미라도-도시라미’의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으며, 빠른 쥔쥐새끼는 ‘미라도’의 세 음만 사용한다. 느리게 부르는 쥔쥐새끼는 ‘미라도-도시라미’의 상하행 구조가 다르게 진행되는 육자배기토리가 잘 표현되고 있다. 빠른 곡은 3소박 4박자의 자진모리장단에 맞고, 느린 곡은 3소박 4박자의 중중모리장단에 맞는다. 빠른 곡은 1장단을 메기고 1장단을 받는다. 느린 곡은 4장단이 하나의 악구를 이루는데 혼자 부르기도 하고 2장단씩 나누어 메기고 받을 수도 있다.

빠른 쥔쥐새끼는 메기고 받는 형태로 노래하지만 격렬하게 놀이를 하기 때문에 가사의 변화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하여 메기는부분의 가사를 바꾸지 않고 계속 반복한다. 뿐만 아니라 느린 쥔쥐새끼 가사의 종류도 많지 않다.

전라북도나 전라남도 내륙지역에서는 동애따기와 외따기 유형이 많고, 전라남도의 영광군에서는 군사놀이 형태가 전승된다. 경상도 지역의 월워리청청 계열에서는 송아지따기가 전승된다.

【필자】김혜정

【참고문헌】김혜정, 『강강술래』, 한얼미디어, 2004.

김혜정, 「강강술래 부수놀이요의 음악적 특성과 생성원리」, ??한국민요학?? 18집, 한국민요학회, 200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