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바심소리

  • 작성일2014-11-16

【정의】볏단을 자리개로 묶은 후 개상에 내리쳐 벼를 떨어내면서 부르던 노동요.

【이칭(異稱)】벼바숨 소리, 개상질 소리, 자리개질 소리, 벼타작 소리, 벼바심 소리 등으로도 부름

【유래 및 역사】주로 충청남도 지방에서도 중·서부 지역에 왕성하게 전승된다. 벼를 탈곡하는 방법은 계속해서 바뀌어 왔다. 바심 이전에는 대나무를 깎아서 둘로 양쪽에 매어가지고 나락을 훑었다고 한다. 그 뒤에 개상에다 내려치는 바심이 나왔는데, 통나무 기둥을 세워서 마당에 놓고 거기에 나락을 내리쳐서 벼를 떨어내는 방법이었다. 바심 이후에는 홀태가 나왔는데, 큰 머리빗처럼 생긴 형태로 역시 여기에 나락을 긁어내어 벼를 떨었다. 홀태질은 일제강점기에 등장했으나 노래는 불리지 않았다. 그 뒤 호롱기, 발동기, 탈곡기가 나왔으나 역시 노래는 없었다. 따라서 벼의 탈곡과 관련한 노래는 바심소리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내용】바심이란 타작을 뜻한다. 바심은 스무 명 정도가 일하면서 개상에다 볏단을 내려쳐서 이삭을 떨어내며 타작하는데 잘 치는 사람은 대여섯 번 치면 떨어지고 그렇지 못한 사람은 예닐곱 번씩 친다. 내려치는 방법은 짚으로 만든 굵은 줄인 자리개 끝을 감아쥐고는 바로 내려 쳤다가 엎어서 또 치며, 좌우치기로 했다고 한다.

 벼를 타작하는 바심소리나 보리를 타작하는 도리깨질소리, 옹헤야 등은 짧은 단위로 빠르게 메기고 받는 특성이 있다. 바심소리는 2박을 메기고 2박을 받아 3소박 4박 한 장단에 메기고 받는 소리가 들어간다. 메기는소리는 특별한 가사가 있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가사를 가져다가 부를 수 있다. 받는소리는 의미 없는 ‘에헤야에헤’와 같은 여음을 노래한다.

 바심소리와 같이 빠르게 주워섬기는 악곡에서는 노래가 구호에 가깝기 때문에 음계가 분명하지 않다. 출현음은 ‘레솔라도레미파솔’이며, ‘파’음은 짧게 한번 경과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아래쪽 ‘레’음도 약박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보아 ‘솔라도레미’의 음계로 해석할 수 있다.

【필자】김혜정(경인교대)

【참고문헌】『한국민요대전-충청남도편』, 문화방송, 1995.

이소라, 『한국의 농요』1권-5권, 현암사,1985-199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