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곰보타령

  • 작성일2014-11-16

 

【정의】

서울을 중심으로 한 경기지방 휘모리잡가 중의 한 가지

 

【유래 및 역사】

<곰보타령>은 주로 서울?경기 지방에서 불리어온 잡가 중에서 휘모리잡가에 속하는 익살스러운 노래이다. <청구영언>이나 <가곡원류>에 있는 장형시조 <바독바독 얽은 놈아>의 가사를 더욱 과장되고 익살스럽게 발전시킨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전문 소리꾼이 노래하는 경기소리에는 잡가와 선소리가 있는데 잡가는 경기좌창이라고도 하는 것처럼 앉아서 노래하고 선소리는 서서 노래한다. 경기지방 잡가에는 비교적 느린 속도로 노래하는 긴잡가와 빠른 속도의 휘모리잡가가 있다.

휘모리잡가는 주로 삼패기생(三牌妓生)과 소리꾼 사이에서 널리 불린 소리로, 예전에는 소리꾼들이 모이면 제일 먼저 긴잡가를 부르고, 다음에 선소리를 부르고, 마지막으로 휘모리잡가를 불렀다고 한다. 현재 전창(傳唱)되는 곡으로는 <곰보타령>·<생매잡아>·<만학천봉>·<육칠월흐린날>·<한잔부어라>·<병정타령>·<순검타령>·<기생타령>·<바위타

령>·<비단타령>·<맹꽁이타령> 등이 있다.

잡가의 전승은 추교신(秋敎信)-조기준(曺基俊)-박춘경(朴春景) 등으로 이어지는 유명한 사계축(지금의 청파동 일대) 명창들과 계보가 닿는 최경식(崔景植) 문하에 많은 제자가 배출되었으며 유개동(柳開東)·정득만(鄭得晩)·이창배(李昌培)·김순태(金順泰)·엄태영(嚴泰泳)·김태운(金泰運)·최정식(崔貞植)·탁복만(卓福萬)·박인섭(朴仁燮)·이명길(李命吉)·원경태(元慶兌) 등이다. 오늘날 경기소리의 전승은 최경식의 공에 힘입은 바가 크다.

여러 어휘의 반복적인 나열, 터무니없이 과장된 표현 등 휘모리잡가의 익살스런 표현은 19세기와 20세기초반 상업적인 분위기가 팽창할 시기의 무대공연 환경과 도시 서민 대중들의 감성과 맞닿아 유행하게 되었다.

 

【형태, 기능 및 특징】

<곰보타령>의 장단은 불규칙하여 볶는 타령 장단에 맞는 대목과 그렇지 않는 대목이 섞여있다. 따라서 노래를 아는 사람이 아니면 반주를 하기 까다롭고 대개는 노래하는 사람이 직접 장구를 치면서 노래하는 경우가 많다.

노래의 리듬은 긴잡가의 경우처럼 가사 한 음절을 길게 늘리거나 여러 음으로 내지 않고 휘모리잡가에 속하는 다른 악곡들처럼 ‘휘몰아서’, 즉 촘촘히 붙여서 노래한다. ‘~ 같고, ~ 같고’ 하는 식으로 곰보의 얽은 얼굴을 여러 가지 사물로 빗대어 열거하는 대목은 그 곡조도 비슷한 가락으로 반복적으로 나열해간다. <곰보타령>을 포함하여 휘모리잡가의 마지막 부분은 예외 없이 시조의 종지형처럼 4도 아래로 뚝 떨어져 끝나고 있어 사설시조의 변형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잡가는 서민들의 직설적인 표현이 많다. 특히 휘모리잡가의 사설은 옛 장형시조 가운데서 우습고도 해학적이며, 재미있는 것을 골라 빠른 한배로 부른다. 창법은 소위 ‘잡가목’이라 하여 굵고 힘차고 폭이 넓은 요성(搖聲)을 쓴다.

 

【내용】

<곰보타령>은 휘몰이잡가중에서도 가장 풍자와 해학과 과장이 뛰어난 노래이다. 칠팔월 청명일(淸明日)에 시냇가로 내려오는 몹시 얽은 중의 얼굴을 멍석, 덕석, 어레미(굵은 채), 분틀밑(국수틀밑), 구리석쇠 등 생활주변의 여러 가지 얽어맨 사물들과 관련시키고 또 몹시 얽은 인물들과도 연결시키고 있는데 그 이름들이 요즘 사람들이 알 수 없는 사물들이며 인물들이다. 그 인물들을 보면 갑오경장 전후의 편싸움패, 또는 건달패와 유명한 절의 중들도 끼어 있다. 후반부로 가면 갖가지 물고기들마저 중의 얽은 얼굴을 보고 그물로 알고 도망친다는 우스꽝스런 내용으로 되어 있는데 물고기들에게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승지, 옥당, 한림, 대사간 등의 직품을 붙이고 있는 것이 재미있다.

 

<곰보타령>의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칠팔월 청명일(淸明日)에 얽은 중이 시냇가로 나려를 온다

그 중이 얽어매고 푸르고 찡그기는 장기 바둑판 고누판 같고

멍석 덕석 방석 같고

어레미 시루밑 분틀밑 같고

청동적철(靑銅炙鐵) 고석매 같고

땜쟁이 발등 감투 대장쟁이 손등 고의 같고

진사전 산기둥 같고

연죽전(煙竹廛) 좌판 신전마루 상하 미전(米廛)의 방석 같고

구타 정장(毆打呈狀) 소지(訴紙) 같고

근정전(勤政殿) 철망 같고

우박 맞은 잿더미 쇠똥 같고

경무청 차관 콩엿 깨엿 진고개 왜떡 조개 멍구럭 같고

여의사(如意紗) 길상사(吉祥紗) 별문관사(別紋官紗) 같고

직흥 준오 준륙 사오 같고

활량의 사포(射砲) 과녁 남게 앉은 매암이 잔등이 같고

경상도 진상(進上) 대굿바리 꿀병 촉궤 격자바탕 싸전 가게 내림틀 같고

변(邊) 굼보 태(太) 굼보 성주패두(城主牌頭) 염만흥(廉萬興)같고

감영 뒷골의 앙괭이 같고

냉동(冷洞)의 박수범(朴秀範)같고

새절 중의 낙도(樂道) 같고

염불암 중의 포운(浦雲)이 같고

삼막 중의 덕은(德隱)이 같고

시위일대하사(侍衛一隊下士) 마대삼등(馬隊三等) 포대일등병 같고

삼개(麻浦) 무동(舞童)의 박태부(朴泰富)같이

아주 무척 얽은 중놈아

늬 얼굴이 무삼 어여쁘고 똑똑하고 영리하고

얌전한 얼굴이라고 시냇가로 나리지 마라

 

뛴다 뛴다 어룡 소룡(魚龍小龍)은 다 뛰어 넘어 자빠 동그라지고

영의정 고래 좌의정 숭어 우의정 민어 승지 전복

한림 병어 옥당 은어 대사간에 자가사리

떼 많은 송사리 수 많은 곤쟁이 눈 큰 준치 키 큰 갈치

살찐 도미 살 많은 방어 머리 큰 대구

입 큰 메기 입 작은 병어 누른 조기 푸른 고등어

뼈 없는 문어 등 굽은 새우 대접 같은 금붕어는

너를 그물 벼리로 알고 아주 펄펄 뛰어 넘어 도망질한다

그 중에 음침하고 흉물 흉칙 간릉 간특헌 오징어란 놈은

눈깔을 빼서 꽁무니에 차고 벼리 밖으로 돌고

길 같은 농어란 놈은 초 친 고추장 냄새를 맡고 가라앉아 슬슬 

【필자】김현숙

【참고문헌】

장익선, 「연변민요의 음악적 특성과 전승양상에 대한 연구」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정충권,「휘모리잡가와 판소리의 공통 특질」『판소리연구』제18집, 판소리학회, 2004.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서울: 홍인문화사, 1976

장사훈, 『시조음악론』서울: 한국국악학회, 1973.

『한국전통음악대전집』(녹음자료), 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75.

『국악대전집』(녹음자료) 제1집, 서울 : 신세기레코드, 196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