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음계

  • 작성일2014-11-16

【정의】음악에서 한 옥타브 안에 몇 개의 음이 쓰이는지를 설명하는 용어.

옥타브를 분할하는 음 또는 음정들의 연속적인 배열 체계를 나타내는 총칭.

종지음 또는 중심음 등을 고려하여, 음높이의 순서에 따라 한 옥타브 안에 모아 정리한 것.

【이칭(異稱)】선법, 조, 악조, 토리, 길 등의 용어가 유사한 개념으로 쓰이고 있다.

【내용】음계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옥타브 안에 나타나는 음의 수에 따라 붙인다. 한국음악에는 한 옥타브 안에 5음이 반음 없이 장2도와 단3도 음정으로 구성되는 5음음계가 주를 이루며, 일부 음악에 예외적인 현상이 나타난다. 5음음계는 고악보에 사용된 평조와 계면조가 대표적이며, 대부분의 궁중음악과 통속민요 중 경토리, 수심가토리, 메나리토리 등에 쓰이며, 3음음계와 4음음계는 <시조>와 토속민요 등에 쓰인다. 6음음계는 판소리와 산조 등 육자배기토리에 사용되며, 중국에서 전래 되었거나 영향을 받은 악곡들이 향악화 된 <보허자> <여민락> 등의 곡에도 흔적이 남아 있다. 7음음계은 중국에서 전래된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 중 진찬>에 사용되고 있다. 판소리산조의 6음음계 중 ‘도-시’를 하나의 음으로 보고 5음음계로 간주하기도 한다.

 

【필자】김우진

【참고문헌】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변미혜·한윤이·김희라, 『국악용어편수자료집Ⅰ』 서울:민속원, 2008.

장사훈·한만영, 『국악개론』, 서울: 한국국악학회, 1975.

장사훈, 『국악총론』, 서울: 정음사, 1976.

서한범, 『국악통론』, 서울: 태림출판사, 1981.

이혜구·임미선, 『한국음악이론』, 서울: 민속원, 2005.

김해숙·백대웅·최태현, 『전통음악개론』, 서울: 도서출판 어울림, 1995.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