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청산리

  • 작성일2014-11-16

【정의】개성(開城)의 명기(名妓) 황진이(黃眞伊)가 지은 평시조로 불리는 시조 시.

【내용】자신은 명월(明月)로 종친인 벽계수(碧溪守)는 벽계수(碧溪水)로 빗대었다. 벽계수가 여자를 가까이 하지 않는다는 소식을 듣고 황진이가 벽계수의 지조(志操)를 시험하기 위해 지었다고 한다. 개성에 도착한 벽계수는 황진이가 부르는 이 노래 감동하여 말에서 내렸다고 하여, ‘벽계수 낙마곡(落馬曲)’이란 별칭도 갖고 있다. 주로 여창 평시조로 불리며, 가곡의 여창 계락으로 불리기도 한다.의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초장〕 청산리(靑山裡) 벽계수(碧溪水)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중장〕 일도창해(一到滄海)하면 돌아오기 어려우니

〔종장〕 명월(明月)이 만공산(滿空山)하니 쉬어 간들

 

조 시 중 ‘수이감’은 ‘쉽게 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시조는 다음과 같이 5부분으로 구성된 한시로 번역되기도 하였다.

 

청산리벽계수(靑山裡碧溪水)

막과이이거(莫誇易移去)

일도창해불부환(一到滄海不復還)

명월만공산(明月滿空山)

점휴차거약하(暫休且去若何)

 

【필자】김우진

【참고문헌】이주환, 『가곡보』, 서울: 가곡회, 1970.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서울: 홍인문화사, 1976.

이양교, 『시조창보』, 서울: 서울가악회, 1994.

김호성, 『남녀 가곡보』, 수서원, 2010.

김기수, 『남창가곡백선』, 서울: 은하출판사, 1979.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