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정가

  • 작성일2014-11-16

【정의】가곡 · 가사 · 시조의 3종 음악을 묶어 설명하는 용어.

【이칭(異稱)】가악이라 부르기도 한다.

【내용】정악(아악)에 속하는 성악곡을 가리키는 말로, ‘아정한 노래’라는 뜻이 담겨있다. 이 3가지 음악은 사대부, 선비, 기녀, 중인 등이 정서적 욕구 충족과 정서 도야를 위하여 노래했다. 정가는 사람의 감정을 절제하고, 고상하고 품위 있게 노래해야 하며, 화(和)와 정(靜)을 추구하므로 노래의 절차와 격식이 엄격하다. 이 중 <가곡>은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로 지정되었고,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7호,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5호,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8호로 각각 지정되어있다. <가사>는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41호로 지정되었고, 전라북도 21호와 34호로 각각 지정되어있다. <시조>는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호,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호,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14호(내포제),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26호(석암제),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7호,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4호,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4호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필자】김우진

【참고문헌】장사훈, 『국악총론』, 서울: 정음사, 1976.

『김월하정가집』, 제작사 신세기레코드주식회사, 1965.

서한범, 『국악통론』, 서울: 태림출판사, 1981.

김호성·이강근, 『한국의 전통음악』, 서울: 국악보급진흥회, 1985.

문화재청 홈페이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