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시조

  • 작성일2014-11-16

【정의】3장으로 구성된 시를 얹어 부르는 형식의 노래.

【이칭(異稱)】단가, 시절가라고도 불렸으나, 오늘날 시조의 노랫말은 ‘시조 시’라 부르고, 시조의 악곡은 ‘시조창’이라고 구분하여 부름.

【유래 및 역사】예부터 불러온 가곡을 고조(古調)라 부르고, 동일한 노랫말에 새로운 곡조를 붙인 노래를 시조(時調)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악곡 명칭이었다. 영조 때 신광수의 석북집<관악악부>에 의하면, 시조에 처음으로 장단을 배열한 사람이 ‘이세춘’이라 하였다. 이런 점에서 그 이전에는 5박 장단과 8박 장단이 아닌 형태로 불렸거나 장단 없이 불렀을 것으로 보인다. 서유구의 유예지와 이규경의 구라철사금자보에 시조(평시조) 악보가 전하는 점에서 평시조를 시조의 원형으로 보고 있다.

【내용】음악적인 구조(형식)는 <초장(初章)> · <중장(中章)> · <종장(終章)>의 3장으로 구성되며, 평시조를 기준으로 각 장(章)의 장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초장] 5박 장단, 8박 장단, 8박 장단, 5박 장단, 8박 장단

[중장] 5박 장단, 8박 장단, 8박 장단, 5박 장단, 8박 장단

[종장] 5박 장단, 8박 장단, 5박 장단, 8박 장단

 <종장>의 장단이 다른 장에 비해 짧은 것은 종장 끝음절인 ‘하노라’, ‘하느니’, ‘하오리라’ 등을 생략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문학에서는 시조가 ‘음악의 즉흥성을 가진 전달 음악’, ‘결의가 단호하고 힘참을 실감하게 하는 효과’를 이유로 보고 있으나, 음악적으로는 조선 후기에 사용된 노래의 한 방식으로 보아야 한다. 즉 비슷한 시기에 불렸던 일부 가사(양양가, 매화가, 어부사)와 휘모리잡가에도 쓰이던 방식이다.

 동일한 선율에 여러 가지 시조 시를 얹어 부르며, 대개는 특별한 반주 없이 손장단 또는 장구 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형태이므로, 선비와 중인층에서 가장 널리 불러 온 성악곡이다. 오늘날 무대에서 공연할 때는 장구 외에도 주로 대금으로 반주하며, 피리와 해금이 곁들여지기도 한다. 평시조의 음계는 황종(黃鐘;E♭), 중려(仲呂;A♭), 임종(林鐘;B♭)의 3음을 기본으로 하고, 요성과 퇴성을 사용하여 음의 변화를 이끌어낸다.

 음악적 특징에 따라 시조의 구분은 다양하게 나뉘는데, 먼저 선율과 창법에 따라 <평시조>, <사설시조>, <지름시조>, <중허리시조>, <사설지름시조>, <우조시조>, <우조지름시조>, <각시조>, <반각 시조> 등으로 구분한다. 창자에 따라 시조는 남창과 여창으로 구분하며, 지역에 따라 시조는 <경제 시조>, <영제 시조>, <완제시조>, <내포제 시조>로 구분한다. 최근에는 <내포제 시조>에서 <서판 시조>를 별도로 구분하기도 한다. 남창은 3장에 속소리(가성)를 한 번 사용하는데 비해, 여창은 속소리(가성)을 많이 사용하며, (여창)평시조, (여창)지름시조 등이 자주 불린다. 시조는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호,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호,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14호(내포제),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26호(석암제),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7호,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4호,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4호로 각각 지정받았다.

【필자】김우진

【참고문헌】신광수, 『석북집』 <관악악부>

장사훈, 『시조집』, 1939.

장사훈, 『時調音樂論』, 한국국악학회, 1973.

김호성, 『時調唱百選』, 수서원, 2002.

문화재청 홈페이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