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세틀형식

  • 작성일2014-11-16

【정의】전통음악에 쓰이는 3가지 빠르기로 구성된 형식.

【이칭(異稱)】기 형식(三機 形式)

【유래 및 역사】려 시대부터 쓰인 형식으로 조선 시대에는 삼진작(三眞勺) · 치화평 삼기(致和平三機) · 정읍 만기·정읍 중기·정읍 급기가 있었다. 양금신보 梁琴新譜 "지금 쓰이고 있는 대엽(大葉)의 만·중·삭은 모두 과정(瓜亭) 삼기곡(三機曲) 중에서 나온 것이다."라 기록에서 ‘삼기’ 즉 세틀 형식이란 용어가 만들어졌다.

【내용】세틀 형식은 느리게 시작하여 점점 빨라지는 형식이며, 아악·당악에는 없고 향악에만 있다. 이 형식은 음악의 속도와 관계가 있어 만(慢)·중(中)·삭(數) 또는 일(一)·이(二)·삼(三)의 3가지 빠르기로 구성된다. 만(慢)과 일(一)이 가장 느리며, 가락도 복잡하다. 중(中)과 이(二)는 가락에 큰 변화 없이 속도만 조금 빨라진다. 삭(數)과 삼(三)은 가장 빠르며, 장식음은 덜어내고 선율의 중요음만 남긴다. <영산회상>의 ‘상령산 · 중령산 · 세령산’과 <산조>의 ‘진양조 · 중모리 · 자진모리’의 구성도 세틀 형식에 속한다.

【필자】김우진

【참고문헌】변미혜 외 2인,『국악용어 편수자료집Ⅰ』, 서울: 민속원, 2008.

이혜구·임미선, 『한국음악이론』, 서울: 민속원, 2005.

장사훈·한만영, 『국악개론』, 서울: 한국국악학회, 1975.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