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모음곡형식

  • 작성일2014-11-16

【정의】여러 곡을 모아 하나의 대곡(大曲)을 이루는 악곡 형식.

【내용】작은 소곡(小曲)을 이어서 연주하는 형태의 악곡 형식을 가리키며, 각각의 소곡은 독립적으로 연주되기도 한다. <영산회상>의 소곡은 서로 발생 과정에서 선후의 관계에 있기도 하고, 관계없는 소곡이 모여 있기도 하다. 이 형식으로 된 악곡은 <영산회상>, <가곡>, <천년만세>, <별곡>, <대풍류>, <사관풍류>, <취타풍류>, <보태평>, <정대업>, <산조> 등을 들 수 있는데, <산조> 등은 한배가 빨라지므로 ‘한배에 따른 형식’에 해당하기도 하고, <영산회상>의 일부 악곡들은 ‘세틀 형식’에 해당하기도 한다.

 <영산회상>은 <상령산>-<중령산>-<세령산>-<가락더리>-<삼현도드리>-<하현도드리>-<염불도드리>-<타령>-<군악>으로 이루어진 모음곡 형식이며, <산조>는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 등으로 이루어진 모음곡 형식이다. <사관풍류>는 <우조두거>-<변조>-<계면두거>-<평롱>-<계락>-<편수대엽>으로 이루어진 모음곡 형식이며, <취타풍류>는 <취타>-<길군악>-<길타령>-<별우조타령>-<군악>으로 이루어진 모음곡 형식이다.

【필자】김우진

【참고문헌】변미혜 외 2인,『국악용어 편수자료집Ⅰ』, 서울: 민속원, 2008.

이홍수 외 3인,『음악의 이해』, 서울: 교학사, 2011.

이혜구·임미선,『한국음악이론』, 서울: 민속원, 2005.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