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당악

  • 작성일2014-11-16

【정의】통일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중국(당·송)에서 유입된 중국 속악의 통칭.

【유래 및 역사】664년(문무왕 4)에 ‘성천(星川)과 구일(丘日) 등 28명을 웅진부성(熊津府城:현재 공주시)에 보내어 당악을 배우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이때의 당악은 당(唐)나라의 음악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고려 시대 광종 때에 당나라의 악기와 악공을 받아들였고, 1073년(문종 27)에 교방의 진경(眞卿) 등 13명이 전하는 <답사행가무(踏沙行歌舞)>를 연등회(燃燈會)에서 추었으며, 같은 해 11월에 교방의 초영(楚英) 등이 새로 전하는 <포구락(抛毬樂)>·<구장기별기(九張機別伎)>를 팔관회(八關會)에서 추었다. 1077년 2월에 연등회를 마치고 중광전(重光殿)에서 교방의 초영이 추는 <왕모대가무(王母隊歌舞)>를 보았다. 이 춤은 55인이 ‘군왕만세(君王萬歲)’ 또는 ‘천하태평(天下太平)’의 네 글자를 만드는 것이었다. 그 후 <헌선도(獻仙桃)>·<수연장(壽延長)>·<오양선(五羊仙)>·<연화대(蓮花臺)> 등이 전래되었다. 이들 춤에서 불리던 노래로 <보허자(步虛子)>·<억취소>·<수룡음(水龍吟)> 등이 있었고, 노래로만 불리던 곡으로는 <낙양춘>·<하운봉> 등이 있었다. 즉 고려 시대의 당악은 송나라에서 들어온 것으로, 기악과 성악은 물론 춤(정재)도 당악이라 불렸다.

 조선 시대 초에는 <헌선도>·<수연장>·<오양선>·<포구락>·<연화대> 5종의 정재와 <보허자>·<낙양춘>·<전인자>·<후인자>·<보허자관악>·<환환곡 중강령>·<수룡음>·<억취소>·<하운봉>·<소포구락>·<오운개서조>·<회팔선>·<천년만세>·<절화>·<중선회> 등 상당수의 당악이 전하였으나, 조선 후기에는 전하는 곡의 수가 적어졌다. 현재는 정재 <포구락>과 <보허자>·<낙양춘>만이 해 오고, 일부에서 조선 시대 만들어진 음악 중 당피리로 연주하는 음악을 당악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엄밀한 의미의 당악은 아니다.

【내용】라 시대의 당악 연주에는 당비파, 공후, 쟁, 방향, 생, 박판, 대고 등의 악기를 사용하였으며, 탑에 새겨진 악기 중에는 요고(腰鼓)·퉁소洞簫〕·쟁(箏)·소(簫)·횡적(橫笛)·비파(琵琶) 등이 있어 불교에서는 다른 악기들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려 시대의 당악에는 방향·퉁소·적·피리·비파·아쟁·대쟁·장구·교방고·박 등이 사용되었다.

선 시대에는 방향·박·교방고·월금(月琴)·장구·당비파·해금(奚琴)·대쟁·아쟁·당적·당피리·퉁소·태평소(太平簫) 등을 당악기로 구분하였으나, 박·장구·아쟁은 당악과 향악의 연주에 모두 사용되었고, 월금과 해금 그리고 태평소는 향악 연주에만 사용되었다.

 당악은 대부분이 만(慢)이나 영(令)과 같은 악조(樂調)의 이름이 붙어 있다. 만은 대개 전단(前段)과 후단(後段)을 합하여 59자 이상이 되고, 1구가 16자 이내로 된 것으로 <억취소>·<수룡음> 등이 있으며, 1구에 해당하는 음악은 자수(字數)에 관계없이 16박(拍)이다. 영은 만보다 자구(字句)가 짧아서, 전단과 후단을 합하여 거의 58자 이내이고, 1구는 5~7자로 되었다.

 <낙양춘>의 구조를 예로 들면, 1구는 8박으로 구성되고, 8박은 대부분 가사 없이 앞의 7박이 연장되는 것으로 이것을 장인(長引)이라 한다. 8박은 4박과 4박으로 나누고, 제4박과 제8박에는 규칙적으로 박을 쳐서 악절을 구분하며 이것을 사균박(四均拍)이라 한다.

 조선 세조 때 전악서의 좌방(당악 담당)과 우방(향악 담당)을 장악원의 우방으로 통합하면서 당악곡은 향악곡의 특징을 받아들여 향악화되었고, 당악기도 향악기화(鄕樂器化)되었다.

【필자】김우진

【참고문헌】『삼국사기』,『고려사』,『악학궤범』,『증보문헌비고』

이혜구, 『한국음악서설』,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7.

장사훈, 『한국음악사』, 서울: 정음사, 1976.

장사훈, 『국악논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