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자바라

  • 작성일2014-11-16

【정의】금속으로 만든 편편한 두 개의 접시 모양 중앙에 각각 끈을 달아 한 개씩 들고 마주쳐 소리를 내는 금속 타악기.

【이칭(異稱)】바라, 동발, 향발, 발(?), 제금 등으로 형태와 이름이 조금씩 다르며, 군악에서는 ‘자바라’라고 부름.

【유래 및 역사】

인도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고대 이집트, 바빌로니아, 유대 등지에서 주로 종교음악에 연주되었다. 우리나라에는 불교의 전래와 함께 유입되었다는 설이 있다.

바라는 불교의 재의식이나 민간의 굿과 같은 종교음악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군악인 <대취타>에도 편성되어 있고, 조선 시대의 궁중 정재에도 무구로 등장하고 있다.

불교음악에 관련된 바라는 통일신라 시대의 불교 조각과 고려의 불화(佛畵) 및 금속 공예품, 조선 시대의 감로탱 등에서 볼 수 있다.

【형태, 기능 및 특징】

바라는 방짜 놋쇠로 두 개의 원반 가운데를 불룩하게 하고 가운데를 뚫어 끈을 달 수 있게 제작하여 양손에 갈라 쥐고 문질러 비비거나 쳐서 울린다. 무속음악에 쓰이는 바라가 지름 20센티미터 안팎으로 가장 일반적인 크기이다. 궁중 정재에 쓰이는 바라의 크기가 지름 10센티미터로 가장 작으며, 사찰의 작법에 쓰이는 바라의 지름은 약 40센티미터이다. 군대의 음악인 <대취타>에 편성되는 바라의 크기가 가장 커서 지름이 50~60센티미터가 된다. 특별히 무구(舞具)로 쓰이는 향발은 사슴 가죽의 끈에 오색 매듭을 드리워 제작한다.

【내용】

교 무용인 작법(作法) 가운데 바라춤은 <천수바라>, <사다라니바라>, <관욕게바라> 등의 범패에 맞추어 도량을 청정하게 하는 의미로 춘다. 바라는 평안도, 황해도, 제주도, 동해안 등지의 무속음악에서도 긴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강신무의 굿에서 바라는 종교적 신명을 불러일으키는 필수 악기로 인식된다.

 바라는 조선 후기 ‘자바라’라는 이름으로 군영 악대에 편성되기 시작하여 오늘날 태평소, 징, 장구, 용고, 나발, 나각 등과 함께 중요무형문화재 제46호 <대취타>를 연주한다. <대취타>의 자바라는 징, 용고와 함께 12박으로 된 한 장단의 리듬을 동일하게 반복하여 전 곡을 울린다.

 

 

 

 

 

 

【필자】김인숙

【참고문헌】권오성, “삼국시대 이전의 악속,”[한국음악사](서울: 대한민국예술원, 1985); 김기수, [국악입문](서울: 세광출판사, 1983); 김영운, “한국 토속악기의 악기론적 연구,”[한국음악연구](서울: 한국국악학회, 1989) 17·18합병호; 송혜진, [한국악기](서울: 열화당, 2001); 이숙희, [조선시대군영악대](서울: 태학사, 2007);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서울: 국립국악원, 2000); 장사훈, [한국악기대관](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정재국 편저, [대취타](서울: 은하출판사, 199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