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입창

  • 작성일2014-11-16

【정의】야외에서 서서 부르는 소리로서 전문적인 소리패들에 의해 전승되어 온 성악 갈래.

【이칭(異稱)】서서 부른다 하여 ‘선소리’라고 하며, 산천경개를 노래한다고 하여 ‘산타령’이라고도 함.

【유래 및 역사】입창은 노래의 성격과 노랫말 및 문헌 자료 등을 통해 조선 후기의 유랑 예인 집단인 사당패 소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기 입창과 서도입창의 <놀량>이 바로 사당패의 <판염불>에서 유래한 것이며 불어(佛語) 부분이 빠진 것이라고 한다. 불어(佛語)가 남아 있는 <판염불> 본래의 모습은 남도 입창인 <보렴>에 남아있다.

 사당패의 입창은 20세기를 전후하여 남성 중심의 산타령패에 계승된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의 산타령패는 오강(五江)을 중심으로 활동했는데 호조다리패, 동막패, 과천 방아다리패, 뚝섬패 등 여러 단체가 활동했으며, 평양에는 날탕패의 이름이 전해온다.

 오늘날 전승되는 입창은 서울 지방에서 전승되는 경기입창과 서도에서 전승되는 서도입창, 그리고 전라도 지방에서 전승되는 남도입창이 있다. 경기입창과 서도입창은 <놀량>, <앞산타령>, <뒷산타령>, <자진산타령>(서도의 경우 <경발림>)으로 구성된다. 남도입창에는 ‘산타령’이 없고 <보렴>과 <화초사거리>만 있다.

【내용】입창은 넓게는 <산타령>(놀량, 앞산타령, 뒷산타령, 자진산타령)을 비롯하여 <보렴>, <화초사거리>, <양산도>, <방아타령>, <경복궁타령>까지 포함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산타령>만을 지칭하기도 한다.

 경기와 서도의 산타령은 높이 질러내는 소리가 많고 춤동작에 어울리는 경쾌하고 발랄한 리듬으로 이루어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박자는 다소 불규칙하게 진행되는데, 대개 3박을 중심으로 3박과 2박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점도 특징적이다.

 이창배는 경기와 서도의 입창은 곡목 구성이나 내용이 매우 흡사한 점을 들어 서도의 ‘놀량사거리’와 남도의 <화초사거리>가 모두 서울 <놀량>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900년대 축음기 음반의 대부분이 서도산타령을 녹음하고 있으며, 여러 가집 및 음반을 분석하였을 때 오히려 경기산타령이 사설과 음악 모두 서도의 것을 가져다 불규칙하게 만든 것으로 보는 설도 있다.

【필자】김인숙

【참고문헌】김인숙·김혜리, [서도소리](대전: 국립문화재연구호, 2009); 신현남, [산타령연구](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09); 이창배, [한국가창대계](서울: 홍인문화사, 1976); 장휘주·김혜리, [선소리산타령](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한만영, [산타령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음악연구](서울: 풍남, 199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