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유산가

  • 작성일2014-11-16

【정의】서울 지방에서 불리던 12곡의 긴 잡가(일명 경기좌창) 가운데 한 곡.

【유래 및 역사】<유산가>는 19세기 말엽으로 추정되는 [시철가]에 처음 가사가 수록되어 있어 12잡가 가운데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불리기 시작한 사실을 알 수 있다. 20세기에 들어 여타 잡가와 함께 각종 잡가집 및 유성기 음반에 수록되어 대중적으로 유행했으며 상업적 흥행도 거두었다. 원래의 <유산가>는 곡조도 오늘날에 비해 밋밋했고, “화란춘성”으로 시작되는 가사 앞부분에 긴 사설이 붙어 있었다고 한다. 조선 말엽 잡가의 명창으로 유명한 박춘경(朴春景)이 현재와 같은 형태로 새로 고쳐 만들어 불렀다고 전한다.

【내용】유산가는 서울 지방의 긴 잡가 중 한 곡으로 6박의 도드리장단에 맞고, 장구 반주에 맞춰 다소 느린 빠르기로 부른다. 단락마다 유사한 선율형이 반복되지만 노랫말의 내용에 따라서 리듬과 선율이 조금씩 바뀌며 절정 부분에서는 선율 진행이 화려하고 다채롭게 변화하기도 한다. 레, 미, 솔, 라, 도의 5음 음계로 구성되어 경기민요의 특징과 서도민요의 특징을 함께 지니고 있는 곡이기도 하다. 악절의 종지가 대부분 ‘레-미-라’로 상행 종지하는 점도 서도민요의 특징에 가깝다.

 노랫말은 좋은 절기에 뛰어난 경치를 찾아 놀이를 떠나는 내용으로, 여타 잡가와 마찬가지로 시조와 한시, 중국 고사에서 비롯된 다양한 문구를 조각보처럼 이어 쓰고 있다. 예를 들어 ‘어주축수애산춘(漁舟逐水愛山春, 고깃배로 물을 따라 저어가며 산의 봄빛을 사랑할 때)’은 중국 당나라의 시인 왕유(王維)의 ‘도원행(桃源行)’에서 가져온 부분이다. ‘죽장망혜단표자(대지팡이와 짚신을 신고 표주박 하나를 든 채)로 천 리 강산 들어가니’는 잘 알려진 우리의 시조에서 차용한 것이다. 전반부의 한자어 중심의 노랫말과 달리 후반부에 가면 ‘우줄우줄’, ‘이 골물이 수루루루룩 저 골 물이 솰솰’, ‘으르렁 콸콸’ 등 고유어로 이루어진 의성어와 의태어를 사용하여 전·후반이 뚜렷한 대비감을 이루고 있다.

 역동적이고 자유분방한 잡가의 성격이 잘 드러나 있으면서도 악곡의 형식미가 뛰어난 작품으로 12잡가 가운데 백미로 꼽히는 노래이기도 하다.

【필자】필자: 김인숙

【참고문헌】김영운, <경기12잡가의 음악형식>, [한국민요학](서울: 한국민요학회, 2002) 10집; 성경린, <서울의 속가>, [향토서울](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58) 2집; 이창배, [한국가창대계](서울: 홍인문화사, 1976); 이춘희·배연형·고상미, [경기12잡가](서울: 도서출판 예솔,2000); 최원오,<잡가의 교섭갈래적 성격과 그 이론화의 가능성 검토시론>, [관악어문연구](서울: 서울대국어국문학과, 1994) 19집.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