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운라

  • 작성일2014-11-16

【정의】놋접시 모양의 소리판 열 개를 네모난 나무틀에 매달아 채로 치는 금속 타악기.

【이칭(異稱)】구운라(九雲?), 운오(雲?). 동라(銅?)

【유래 및 역사】운라(雲?)의 ‘라(?)’는 징과 같은 둥근 타악기를 가리키는 말로, 작은 징을 여러 개 매단 모습이 구름과 같다 하여 ‘운라’라는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

 운라는 고려 공민왕 때 원나라로부터 들어왔다는 설이 있으나 조선 전기의 문헌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조선 후기 궁중 의례에 관한 그림이나 <통신사행렬도><평안감사환영도>와 같은 각종 기록화에 운라가 등장하고 있어, 조선말 청나라로부터 소개되어 일부 행악에 사용된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내용】운라의 10개의 소리판은 구리로 만들어졌다 하여 일명 ‘동라(銅?)’라고도 하는데, 나무틀의 각 단에 3개씩 3단으로 배열하고, 맨 꼭대기 한가운데에 하나를 매달아 완성한다. 네모난 나무틀은 자루 모양의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어, 보통은 네 발 달린 받침대에 꽂아둔 채 양손에 채를 쥐고 연주한다. 야외의 행진 음악에 사용할 때에는 받침대에서 손잡이를 빼어 낸 후 왼손으로 잡고 오른손으로 나무망치를 들고 연주한다.

 운라에 달려있는 각각의 소리판은 A(중려), B(임종), C(남려), D(무역), E(황종), F(태주), G(고선), A(중려), B(임종), C(남려)로서 한 옥타브가 조금 넘는 음역이며, 7음 음계로 조율되어 있다. 크기는 같고 두께를 다르게 하여 음정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여음이 길기 때문에 느린 선율을 연주할 때에는 손가락으로 소리를 막아내는 기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음색이 맑고 영롱하며 화성 연주도 가능하여 오늘날 창작 음악에 종종 활용된다.

【필자】김인숙

【참고문헌】송혜진, [한국악기](서울: 열화당, 2001); 장사훈, [한국악기대관](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정재국 편저, [대취타](서울: 은하출판사, 199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