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용고

  • 작성일2014-11-16

【정의】군악인 <대취타>에 쓰이는 휴대용 북으로, 북통에 용의 그림이 있는 타악기.

【유래 및 역사】용고와 유사한 형태는려 시대 ‘행고(行鼓)’ 또는 ‘강고(?鼓)’라는 이름의 악기에서도 볼 수 있다. 조선 시대에도 행악에 관련한 ‘행고(行鼓)’ 또는 ‘고(鼓)’에 대한 기록이 있어 오늘날의 용고와 유사한 기능의 악기가 연주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용고란 명칭이 정식으로 사용된 것이 일제강점기부터임은 이왕직아악부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형태, 기능 및 특징】용고는 궁중 연례악에 사용되는 교방고 및 좌고전체적인 모양이 비슷하지만 조금 작다. 북면의 지름이 약 40센티미터이고 북통의 높이가 23센티미터 정도로, 판소리를 반주하는 소리북과 크기가 비슷하다.

【내용】용고는 북통에 달린 고리에 흰 무명천을 걸어 왼쪽 어깨에 끈을 고 상하 북면이 아랫배 높이에서 왼쪽이 높고 오른쪽이 낮게 비스듬히 오도록 하여 허리에 조여 매고 연주한다. <대취타>의 타악기 중 용고의 연주자만이 유일하게 한삼을 손에 끼고 북채를 가리는 점도 특징적이다. 타법은 오른손의 북채 끝이 왼편 겨드랑이 앞을 스치도록 들어 머리 위로 돌려서 내려치면서 북채를 아래로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왼손도 똑같이 번갈아 반복한다.

 용고는 중요무형문화재 제46호로 지정된 <대취타>에서 태평소, 나각, 나발, , 자바라 등과 함께 편성된다. <대취타>에서 용고는 징, 자바라와 함께 12박으로 된 한 장단의 리듬을 동일하게 반복하여 연주한다.

【필자】김인숙

【참고문헌】송혜진, [한국악기](서울: 열화당, 2001); 장사훈, [한국악기대관](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정재국 편저, [대취타](서울: 은하출판사, 199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