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어부사

  • 작성일2014-11-16

【정의】전통 성악곡인 12가사 가운데 한 곡.

【유래 및 역사】12가사 가운데 가장 연원이 오랜 노래로 유명하다.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어부>라는 시를 바탕으로 고려 시대에 12장의 <어부사>가 지어졌고, 조선 중종 때의 문신 이현보(1467~1555)가 이를 9장으로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8세기에 이미 지방의 공식적 행사나 궁중의 정재 <선유락>을 공연하며 <어부사>를 부른 기록이 있지만, 오늘날의 12가사로 전승되는 소리와는 다른 형태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19세기에 이르러 <어부사>는 민간의 놀이 공간으로 전파되며 도시의 유흥적 분위기와 변화된 음악 환경 속에서 독립적인 성악곡인 가사로 발전한다. 궁중정재로 연행된 <어부사>가 슬픈 곡조였던 데 비해 12가사로 포함된 <어부사>는 담담하고 유유자적한 노래로 탈바꿈된다. 당시 대중적으로 애호되었던 노랫말이 ??고금가곡??, 육당본 [청구영언], [남훈태평가], 등의 가집에 전한다.

【내용】<어부사>는 12가사 중 한 곡으로 벼슬을 버리고 한가하게 강호에 묻혀 사는 선비의 삶을 어부에 빗대어 노래한 내용이다. 7언의 한시에 우리말 토를 달고 중간에 ‘배 띄워라’, ‘닻 들어라’, ‘돛 지어라’, ‘배 저어라’, ‘배 매여라’와 같은 지시어로 배의 움직임을 드러낸다. 동일한 형태로 반복되는 사설에 따라 매번 같은 선율형이 출현하여 전체적으로 매우 단조롭고 자칫 지루한 느낌도 드는 노래이다.

 출현음은 황종, 태주, 중려, 임종, 무역의 6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태주와 무역음은 장식적으로 짧게 출현할 뿐이어서 황종, 중려, 임종의 3음계가 근간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서도소리와 같이 중간음에 해당하는 중려에 치켜 떠는 요성을 자주 사용하는 점도 특징적이다. 여느 가사와 같이 6박 장단이며 속도는 다소 느리다. 같은 선율형이 계속 반복되기 때문에 보통 1절만 부르고 나머지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필자】김인숙

【참고문헌】김은희, ?12가사의 문화적 기반과 양식적 특성?(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02); 문현·김혜리, [가사](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임미선, ?선유락의 형성과정과 연행방식?, [조선후기 공연문화와 음악](서울: 민속원, 2012); 하응백 편저, [창악집성](서울: Human & Books, 201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