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서도잡가

  • 작성일2014-11-16

【정의】평안도와 황해도 등지의 서도 지방에서 전승되는 성악의 한 갈래.

【내용】

서도잡가는 경우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범주로 사용된다.

1. 서도민요 가운데 격이 낮은 잡스런 노래

2. 서도좌창

3. 서도좌창 및 서도입창

4. 가장 넓은 개념으로 민요 이외의 다양한 노래를 포함함

 

 1. 서도의 본고장에서 관습적으로 통용되어 온 개념으로 <난봉가>, <개타령>, <방아타령>, <양산도> 등을 가리킨다. 주로 놀이판에서 흥을 북돋워 주는 기능을 하였으며, 익살스럽고 해학적인 내용과 가볍고 흥청거리는 가락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잡가는 <수심가>나 <산염불>과 같은 보통의 서도민요에 비해 저급하게 취급된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들 잡가도 형태면에서 메기고 받는 유절형식의 일반 민요와 동일하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대개 민요로 함께 분류된다.

 2. 경기잡가의 용법과 명칭에서 유래한 개념이다. 경기 지방에서는 경기좌창을 ‘경기잡가’라고 일러 온 관행이 있다. ‘좌창’은 앉아 부르는 노래라는 뜻인데, 12곡으로 구성되어 있어 흔히 12잡가라고도 한다. 즉, 경기잡가와 경기좌창, 12잡가는 모두 같은 의미이다. 분단 이후 경기음악의 시각에 따라 서도좌창을 서도잡가라고 부르는 경우가 생겼다. 서도좌창에는 <공명가>, <배따라기>, <영변가>, <초한가>, <전장가>, <제전>, <초로인생>, <장한몽가>, <관동팔경>, <날찾네>, <봉황곡>, <향산록> 등이 있다. 이는 어디까지나 경기음악의 관점에서 나온 개념일 뿐, 서도 음악인들은 잡가와 좌창을 동일시하지 않는다.

 3. 학술적으로 사용되는 분류 용어이다. 학술 용어로서 잡가는 가곡, 가사 등의 정가(正歌)와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전문 성악인들이 일정한 규모로 발달시킨 노래를 가리킨다. 지역에 따라 서도잡가·경기잡가·남도잡가로 나뉘며, 좌창과 입창을 함께 포함한다. 입창은 조선 후기 사당패 집단에서 비롯되어 선소리패가 계승하고 있는 야외 성악곡이다. 서서 부른다 하여 ‘선소리’라고 하며 노래의 내용이 산을 주제로 하여 ‘산타령’이라고도 한다. 서도입창은 <놀량>, <앞산타령>, <뒷산타령>, <경발림>의 일련의 접속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이와 같은 입창과 2번째로 분류한 좌창을 함께 묶어 서도잡가로 분류하는 것이다.

4. 서도의 성악곡을 분류할 때 사용하는 편의상의 용어로서 좌창을 비롯한 ‘다양한 노래’를 서도잡가로 묶는다. 특정 성악 갈래를 제외한 나머지를 잡가에 포함시키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민요 이외의 소리를 잡가로 분류한다. 즉, <공명가>와 같은 좌창 외에도 <놀량>, <앞산타령>과 같은 입창(선소리)은 물론 <관산융마>와 같은 한시를 노래하는 시창, <추풍감별곡> 같은 소설에 곡조를 얹어 부르는 송서 등을 포함하기도 하며, 더 넓게는 <맹인덕담경>, <파경>과 같은 재담 독경 소리나 <배뱅이굿>까지 잡가에 넣기도 한다.

 

【필자】김인숙

【참고문헌】김정연, [서도소리대전집](서울: 경원각출판사, 1979); 박기종, [서도소리가사집](대전: 서도소리연구회, 1999): 오복녀, [서도소리](서울: 광진문화사, 1978); 이보형·한만영, ?잡가(좌창)·입창·민요?, [문예연감](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 장사훈·한만영, [국악개론](서울: 한국국악학회, 1975).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