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방향

  • 작성일2014-11-16

【정의】금속으로 만든 직사각형 모양의 소리편(片) 16개를 나무틀에 매달아 채로 쳐서 연주하는 타악기.

【이칭(異稱)】철로 만들었다 하여 철향이라고도 함.

【유래 및 역사】방향은 중국 양(梁)나라에서 비롯된 악기로 구리를 사용하다가 후대에 철로 바꾸었으며, 돌로 만든 방향도 있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언제 들어왔는지 알려져 있지 않으나 고려 시대부터 방향을 사용한 기록이 있다. 고려 시대 방향은 중국에서 유입된 궁중의 연향악에 편성되었으며, 조선 전기에는 행진 악대에도 쓰인 바 있다.

【내용】방향은 호랑이 모양의 조각을 얹은 받침대 위에 설주를 꽂고, 가운데에는 금속대를 이단으로 설치하고 소리편을 얹어 제작한 악기이다. 현대 방향의 소리편이 직사각형인데 비해 조선 성종 때 편찬된 악서인 ??악학궤범??의 방향 그림은 철편의 위 부분이 둥근 모습다. 진 악대에 쓰이던 옛날의 방향은 운반하기 편리하도록 오늘날의 악기보다 작다.

아래 에 각각 8개씩 매달린 철편의 음정과 배열 순서도 시대마다 여러 차례 변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오늘날 방향의 음역은 한 옥타브가 조금 넘는 C(황종)~D#(청협종)까지 16개의 반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리편의 크기는 모두 같고 두께에 따라 음높이가 다르다.

 방향은 전통음악 가운데 궁중의 합주 음악에 편성된다. 궁중의 제례악인 <정대업>, ·<보태평>을 비롯하여 <낙양춘>, <여민락만>, <본령>, <해령> 등에 편성되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이는 공명판인 철편을 실로 꿰어 금속대에 묶어 놓은 형태이기 때문에 악기의 크기나 외형에 비해 음향적인 제약이 많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는 이를 고려한 울림이 좋은 개량 방향이 제작되어 창작 음악에 활용되고 있다.

【필자】김인숙

【참고문헌】김기수, [국악입문](서울: 세광출판사, 1983); 송혜진, [한국악기](서울: 열화당, 2001);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서울: 국립국악원, 2001); 장사훈, [한국악기대관](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