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천자뒤풀이(춘향가 중)

  • 작성일2014-11-16

【정의】판소리 춘향가 중 이 도령이 춘향을 생각하며 천자문을 읊는 대목.

 

【이칭(異稱)】천자풀이, 천자문가(千字文歌)

 

【유래 및 역사】<천자뒤풀이>는 조선 후기 판소리 창자인 김세종과 장자백의 두 가지 더늠이 있다. 더늠이란 특정 명창이 자신의 스타일로 새롭게 구성한 판소리의 한 대목을 말하는 것으로, 노랫말이나 음악적인 면에서 뛰어난 더늠은 후세 창자들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판소리에 삽입되어 불린다. 오늘날 흔히 불리는 <천자뒤풀이>는 김세종의 더늠으로 자시에 생천하니 불언행사시 유유피창 하날천으로 시작한다. 이에 비하여 장자백의 더늠은 박봉술바디 춘향가에서만 부르는데, 천개자시 생천하니 태극이 광대 하날천으로 시작한다.

 

【형태, 기능 및 특징】<천자뒤풀이>는 천자문 중 ‘하늘 천(天)’부터 ‘법중 려(呂)’자까지 총 서른 자를 부른다. 주로 중중모리장단 두 장단에 천자문 한 글자가 놓이도록 노랫말을 배치하며, ‘하늘 천(天)-따 지(地)’ ‘검을 현(玄)-누루 황(黃)’과 같이 두 글자씩 대구를 이다. 노랫말은 4음보 율격을 기본으로 하고, 장단 안에 말을 놓아가는 리듬은 기본 리듬형인 대마디대장단을 중심으로 한다. 다만 음보가 조금씩 넘나들기도 하며, 한 장단 안에 노랫말을 많이 두어 촘촘히 엮어가는 형태 또한 자주 사용되 변화를 준다. 악조는 평조를 사용하여 담담하고 화평한 분위기를 낸다.

 

【내용】<천자뒤풀이> 대목은 춘향가 중 전반부에 나오는 대목이다. 광한루에서 춘향을 처음 본 이 도령은 온 마음이 춘향에게로 향해 있다. 책실로 돌아와 글을 읽지만, 춘향이 생각에 글이 눈에 들어오지 않아서 방자에게 한문을 익히는 가장 초보적인 책인 천자문을 들이라 하고, 이에 의아한 방자가 핀잔을 주자, 이 도령은 그 속에 모든 이치가 다 들었다고 하면서 <천자뒤풀이>를 부른다.

<천자뒤풀이>는 말 그대로 천자문에 있는 글자의 뜻을 노래로 부르는 것으로, ‘하늘 천(天)’부터 ‘법중 려(呂)’자까지 총 서른 자를 노래한다. 처음 시작은 ‘자시(子時)에 생천(生天)하니 불언행사시(不言行四時) 유유피창(悠悠彼蒼)에 하늘 천: 밤 열한 시부터 한 시 사이인 자시에 하늘이 생기니, 이때는 아직 사시가 운행한다고 할 수 없을 때, 즉 네 계절의 구별이 없을 때이, 끝없이 너르고 푸른 하늘 천’이라 하고, ‘축시(丑時)으 생지(生地)허여 금목수화(金木水火)를 맡었으니 양생만물(養生萬物) 따 지: 밤 한 시에서 세 시 사이인 축시에 땅이 생겨 우주 만물을 이루는 다섯 가지 원기인 쇠, 나무, 물, 불, 흙을 맡았으니, 땅 위의 모든 것을 키우는 따 지’라 한다. 이는 송나라 때의 학자인 소옹(邵雍)이 지은 『황극경세(皇極經世)』중의 ‘하늘은 맨 처음 깜깜한 자시에 열리고, 땅은 그 다음 축시에 생겼다’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그러나 천자풀이를 제대로 해 나가던 이 도령은 이내 춘향에게로 정신이 팔리고, ‘오매불망 우리 사랑 규중심처 감출 장’, ‘저러한 고운 태도 일생 보아도 남을 여’, ‘이 몸이 훨훨 날아 천사만사 이룰 성’, ‘춘향과 날과 단둘이 앉어 법중여자로 놀아 보자’와 같이 천자풀이에 춘향을 향한 자신의 마음을 담아 노래한다.

 

【필자】신은주

 

【참고문헌】

「춘향가의 천자뒤풀이 수용양상과 전승」(박관수, 『한국어문학연구』제6집,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회, 1994)

 

 

김세종 더늠 <천자뒤풀이> (조상현 춘향가, 『판소리 다섯마당』한국브리태니커회사)

자시(子時)에 생천(生天)하니 불언행사시(不言行四時) 유유피창(悠悠彼蒼)에 하늘 천(天), 축시(丑時)으 생지(生地)허여 금목수화(金木水火)를 맡었으니 양생만물(養生萬物) 따 지(地), 유현미묘(幽玄微妙) 흑정색(黑正色) 북방현무(北方玄武) 감을 현(玄),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 동서남북(東西南北) 중앙 토색(土色)으 누루 황(黃), 천지사방(天地四方)이 몇만 리 하루광활(廈樓廣?) 집 우(宇), 연대(連代) 국조(國祖) 흥망성쇠(興亡盛衰) 왕고래금(往古來今) 집 주(宙), 우치홍수(禹治洪水)으 기자(箕子) 추연(推衍) 홍범(洪範)이 구주(九疇) 넓을 홍(弘), 전원(田園)이 장무호불귀(將蕪胡不歸)라 삼광(三徑)이 취황(就荒) 거칠 황(荒), 요순천지(堯舜天地) 장할시구 취지여일(就之如日) 날 일(日), 억조창생(億兆蒼生) 격양가(擊壤歌) 강구연월(康衢煙月) 달 월(月), 오거시서(五車詩書)에 백가어(百家語) 적안영상(積案盈箱) 찰 영(盈), 이 해가 어이 이리 더디 진고 일중지책(日中則?)으 기울 책(?), 이십팔수(二十八宿) 하도(河圖) 낙서(洛書) 진우천강(辰宇天岡) 별진(辰) 가련금야(可憐今夜) 숙창가(宿娼家)라 원앙금침 잘 숙(宿), 절대가인 좋은 풍류 나열춘추 벌일 열(列), 의희월색(依依月色) 삼경야으 탐탐정회(耽耽情懷 베풀 장(張), 부귀공명 꿈 밖이라 포의한사(布衣寒士) 찰 한(寒), 인생이 유슈같이 세월이 절로 올 래(來), 남방천리 불모지(不毛地)라 춘거하래(春去夏來) 더울 서(暑), 공부자으 착한 도덕 이왕지사으 갈 왕(往), 상성(霜聲)이 추서방지(秋序方至)으 초목이 황락 가을 추(秋), 백발이 장차 오거드면 소년풍도 거둘 수(收), 낙목한천(落木寒天) 찬바람에 백설강산으 겨우 동(冬), 오매불망 우리 사랑 규중심처 감출 장(藏), 부용작약으 세류 중으 왕안옥태(王顔玉態) 부를 윤(閏), 저러한 고운 태도 일생 보아도 남을 여(閭), 이 몸이 훨훨 날아 천사만사 이룰 성(成), 이리저리 노니다 부지 세월 해 세(世), 조강지처(糟糠之妻)는 박대 못허느니 대전통편(大典通編)으 법중 율(律), 춘향과 날과 단둘이 앉어 법중 여(呂)자로 놀아보자.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