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옥중가

  • 작성일2014-11-16

 

【정의】판소리 춘향가 중 춘향이가 옥에 갇혀 탄식하는 대목.

 

【이칭(異稱)】동풍가, 몽중가, 황능묘(옥중가는 다양한 더늠과 노랫말을 갖고, 노랫말에 따라 여러 이칭을 사용함)

 

【유래 및 역사】<옥중가>를 부른 판소리 창자 중 으뜸은 조선 시대 순조 ? 헌종 ? 철종 삼대에 걸쳐 이름을 날렸던 송흥록이다. 그는 판소리에 사용되는 우조와 계면조를 그 이전과는 구별되는 신역의 경지로 끌어올렸으며, 판소리에 진양조장단을 도입 ? 완성함으로서 판소리의 표현 영역을 확대하였다고 평가되는 인물이다. 박황의 『판소리소사』에는 송흥록의 <옥중가>와 관련한 다음의 일화가 전한다.

“어느 날 밤, 진주(晋州)의 촉석루(矗石樓)에서 소리를 한 일이 있었다. 수천 명의 청중은 그의 슬픈 곡에 모두 눈물을 흘렸으며, <옥중가> 중 귀곡성을 내는 대목에 이르러 창거창래(唱去唱來)의 진경에 들어가자, 갑자기 바람이 일고 수십 개의 촛불이 일시에 꺼지면서 하늘로부터 귀신의 우는 소리가 들려 왔다.”

송흥록은 귀신에게 직접 소리를 배웠다더라”라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로 ‘귀곡성’이 뛰어났으며, 슬픈 곡에 이르러서는 듣던 청중이 모두 눈물을 흘릴 정도로 슬픈 감정을 잘 표현하였다고 한다.

 

【형태, 기능 및 특징】<옥중가>는 판소리에 사용되는 장단 중 가장 느린 진양조장단과 슬픔의 정서를 표현하기에 적절한 계면조가 사용된다. 진양조장단은 매우 느린 장단으로, 농현 ? 추성 ? 퇴성을 기본으로 한 다양한 음의 기교들과 목의 기교들을 사용하여 풍부한 감정을 표현해 낼 수 있는 시간적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송흥록은 느린 진양조장단을 사용하여 슬픔과 비통의 최절정을 이루고 있는 <옥중가> 대목을 만들어내었고, 청중들을 울고 웃기며 가왕(歌王)의 칭호까지 받을 수 있었다.

 

【내용】<옥중가>는 춘향이가 이 도령과 이별 후에 변 사또의 수청을 거부하고 모진 매를 맞은 뒤, 적막하고 섬뜩한 옥방에 갇힌 자신의 처량한 신세와 이별의 아픔을 매우 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대목이다.

옥중가는 다양한 더늠과 노랫말을 갖는다. 노랫말에 따라 <동풍가>, <몽중가>, <황능묘> 등으로 불리는데, <동풍가>는 동풍이 눈을 녹이여 가지가지 꽃이 피고 작작허구나. 두견화는 나부 보고 웃난 모양은 반갑고도 설거워라. 눌과 함께 보잔 말이냐.라는 노랫말을 포함한다. <몽중가>는 일야는 꿈을 꾸니 장주가 호접되고 호접이 장주되야 실같이 남은 혼백 바람인 듯 구름인 듯이라는 노랫말로 시작하는 옥중가로, 옥에 갇힌 춘향이가 울며 세월을 보내다가 어느 날 잠이 들어 꿈을 꾸는 대목이다. 꿈속에서 춘향은 황능묘에 다다라 열녀들을 만나는데, 이에 <몽중가> 대목을 <황능묘>라 부르기도 한다.

 

【필자】신은주

 

【참고문헌】

「판소리의 가왕 송흥록」(이보형, 『판소리연구』제5집, 1994)

「판소리 춘향가 중 옥중가 비교분석 연구」(모보경, 전북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옥중가> (송만갑 창.「명인명창선집(6) 동편제 판소리」서울음반)

옥방형상 살펴보니 앞문으난 살만 남고 뒷벽으난 외만 남아 동지섣찬바람은 시르르 듸려부니 백설이 침질헌다. 동풍이 눈을 녹여 가지가지 꽃이 피었으니, 작작하다 두견화는 나부 보고 웃난 모양은 반갑고도 설거워라. 눌과 함께 보잔 말이냐. 꽃이 지고 잎이 피니 녹음방초 시절이라. 꾀꼬리는 북이 되야서 유상세지 늘어진 듸 구십춘광을 짜놓는 소리는 아름답고 설거워라. 눌과 함께 듣자는 거나. 단옥장춘은 연년이 푸르렀고, 추풍혼백은 설운 마음 자어내야, 공산으 두견이난 은은한 삼경 밤의 피가 나그 슬피 울어서 님의 귀으 들리고저.

 

송흥록 제 <옥중가>(김창룡 창. 「콜럼비아 유성기 원반(2) 판소리명창 김창룡 ? 그 손녀 김차돈」LG미디어)

바람은 우루루루루루루 궂인 비는 퍼붓는디, 옥중의서 구신들이 둘씩 셋씩 늘어서서 손길을 마주 잡고 끝없는 긴 소래로 으으으이 이히히히이히이 노장 산유화로 울고, 허허 이허이 어어이어 울음을 우는디, 춘향이는 반생반사 칼머리를 땅땅 치며 옥문을 바라보고, “모지고 독헌 양반” 구신들이 섞어 울음 울며 “나를 잡아 가거라 나를 잡아 가거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