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어화둥둥 내 딸이야(심청가중)

  • 작성일2014-11-16

【정의】판소리 심청가 중 심 봉사가 어린 딸 청이를 어르는 대목.

 

【형태, 기능 및 특징】심 봉사가 어린 심청을 어르며 부르는 <어화둥둥 내 딸이야>는 중중모리장단과 자진모리장단의 두 대목으로 나뉜다. 중중모리장단 대목은 우물가 젖동냥 대목에 연결되어 간략하다. 자진모리장단 대목은 유파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는데, 박동실바디 심청가에는 없고, 정응민바디와 김연수바디 심청가에서만 불리되, 김연수바디에서 좀 더 길게 전개된다.

 

【내용】<어화둥둥 내 딸이야>는 심 봉사가 어린 심청을 안고 우물가에 찾아가 빨래하는 아낙네들에게 동냥젖을 얻어 먹인 뒤, 집으로 돌아오며 수풀에 앉아 아이를 어르는 대목이다. 아내를 잃고 젖먹이 어린 딸을 혼자 키우는 것은, 더구나 앞 못 보는 봉사인 심청의 아버지에게는 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예쁜 딸 청이만 생각하면 그 모든 것이 하나도 고되지 않다. 비록 동냥젖을 먹였지만, 심청이의 빵빵한 배를 만져보고는 더없이 행복한 마음에 아이를 어르며 절로 노래가 나온다. <어화둥둥 내 딸이야> 대목은 딸을 향한 심 봉사의 사랑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흐뭇한 대목이다.

노랫말에는 “둥둥둥 내 딸이야 어허 둥둥 내 딸이야(중중모리장단)” 또는 “둥둥 내 딸 어허 둥둥 내 딸(자진모리장단)”이 대목의 시작과 끝, 중간 중간 단락의 끝맺음 부분에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이 대목을 <어화둥둥 내 딸이야>라고 하는 것 역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이 노랫말에서 따온 것이다. 오늘날에도 아이를 어르면서 많이 하는 놀이인 ‘도리도리’와 ‘잼잼(주얌주얌)’이 노랫말에 등장하고 있어, 손 유희가 예로부터 흔히 하였던 놀이임을 알 수 있고, 친숙함이 느껴진다. ‘잘강잘강’, ‘들랑달랑’과 같은 말은 언어유희적 측면에서 재미를 더한다.

 

【필자】신은주

 

【참고문헌】

『교주본 심청가』(최동현 ? 최혜진, 민속원, 2005)

 

<어화둥둥 내 딸이야> (『성우향창본 강산제 심청가』)

[중중모리장단] 둥둥둥 내 딸이야. 어허 둥둥 내 딸이야. 금을 준들 너를 사며, 옥 준들 너를 사랴. 백미 닷 섬에 뉘 하나, 열 소경 한 막대로구나. 둥둥 내 딸이야. 어덕 밑에 귀남이 아니냐. 슬슬 귀여라, 어허 둥둥 내 딸이야. 둥둥둥 오호 둥둥 내 딸이야.

[자진모리장단] 둥둥 내 딸 어허 둥둥 내 딸. 어허 둥둥 내 딸. 이리 보아도 내 딸, 저리 보아도 내 딸. 엄마 아빠 도리도리 주얌주얌 잘강잘강 선마 둥둥 내 딸. 서울가 서울가 밤 하나 얻어다 두룸박 속에다 넣었더니, 머리감은 생쥐가 들랑달랑 다 까먹고 다만 한쪽이 남았기에 한쪽은 내가 먹고 한쪽은 너를 주마. 우루루루루루 둥둥둥 오호 둥둥 내 딸이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