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범피중류

  • 작성일2014-11-16

【정의】판소리 심청가 중 심청이가 제수로 팔려 배를 타고 인당수로 가는 대목.

【이칭(異稱)】소상팔경(瀟湘八景)

【유래 및 역사】판소리 심청가에 <범피중류>가 삽입된 시기는 대략 19세기 중반 무렵이다.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 의하면 <범피중류>는 동편제 창자인 전도성의 더늠으로 소개된다. 그러나 전도성이 부른 <범피중류>는 사실 조선 후기 판소리 창자인 송광록의 더늠으로, 그가 제주도에서 5년 동안의 소리공부를 마치고 돌아오는 배 안에서 만경창파를 바라보며 느낀 감개무량한 회포를 진양조장단으로 읊은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노랫말이 대부분 어려운 한시문으로 이루어져 있는 점에서, 천민 광대였던 송광록 혼자만의 창작이라 보기는 어려우므로, 그보다 조금 앞선 시기에 활동했던 명창 방만춘이 시문에 소양이 있는 음률가와 함께 창작한 것을, 송광록이 잘 불러 퍼트린 것으로 보기도 한다.

 판소리는 유파에 따라 소리 대목의 구성이나 노랫말이 조금씩 다른데, 송광록의 더늠 <범피중류>는 유파에 관계없이 모든 심청가 바디마다 포함되어 있고, 노랫말의 변화도 거의 없다.

【형태, 기능 및 특징】<범피중류>는 인당수로 가는 배 위에서 바라보는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화평한 분위기로 그려낸다. 이를 위해, 이완의 느낌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느린 진양조장단에, 악조는 꿋꿋한 우조를 사용한다. 특히 이 대목에 사용되는 우조는 ‘가곡성우조’라고 하는데, 점잖고 우아한 멋을 한껏 살려준다.

【내용】<범피중류>는 노랫말 첫머리가 ‘범피중류’로 시작되어, 이를 제목으로 부른 것이다. ‘범피중류(泛彼中流)’는 배가 넓은 강이나 바다 중간에 둥둥 떠 있다는 뜻으로, 아버지의 눈을 띄우고자 공양미 삼백석에 제수로 몸이 팔린 심청이가, 배를 타고 인당수로 죽으러 가 대목이다. 따라서 매우 슬픈 대목이지만, 배 위에서 바라보는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매우 화평하면서도 우아하게 그려내고 있다. 죽으러 가는 길에 보이는 풍경이 아름다울 리 없다. 그러나 매우 비통한 이 대목에서 심청의 마음 상태를 있는 그대로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유유자적한 느낌으로 아름다운 자연 풍광을 노래함으로서 심청의 심경과 묘한 대비를 이루게 되고, 이것이 오히려 더욱 절절한 슬픔의 감정을 느끼게 한다.

 <범피중류>는 판소리 수궁가에서도 불린다. 수궁가 중 <범피중류> 대목은 심청가 <범피중류>가 수용된 것으로, 토끼가 별주부에게 속아 수궁으로 가는 장면에 삽입된다.

【필자】신은주

【참고문헌】

「심청가의 범피중류 연구」(김석배, 『문학과 언어』제14집, 문학과 언어연구회, 1993)

「심청가 범피중류의 음악적 구현양상과 의미」(김혜정, 『한국음악연구』제47집, 한국국악학회, 2010)

「중고제 심청가 <범피중류> 연구」(신은주, 『판소리연구』제27집, 판소리학회, 2009)

  전도성 <범피중류> (『조선창극사』)

 범피중류 떠나가니 망망한 창해중에 탕탕한 물결이라. 백빈주의 갈막이난 홍요안으로 날아들고 삼상의 기럭이난 한수로 돌아든다. 요량한 남은 소리 어적이 기었마는 곡종인불견 수봉만 푸르렀다. 애내일성 만고수는 날로두고 이름이라. 장사로 지나가니 가태부는 간 곳 없고 멱라수를 바라보니 굴삼려 어복충혼 무량도 하시던가. 황학루 다다르니 일모향관 하처시오 연파강상 사인수는 최호의 유적이라. 봉황대 바라보니 삼산반락 청천외오 이수중분 백로주난 이태백이 노던데요. 심양강 당도하니 백락천 일거 후에 비파성이 끊어졌다. 적벽강을 그저가랴 소동파 노던 풍월 의구히 있다마는 조맹덕의 일세지웅 이금에 안자재오. 월락오제 깊은 밤 고소성외 배를 매니 한산사 쇠북소리 객선에 뎅뎅 들려온다. 진회수를 건너가니 격강의 상녀들은 망국한을 모르고서 연롱한수 월령사에 후정화만 불렀더라. 소상강 들어가니 악양루 높은 집은 호상에 떠있다. 동남으로 바라보니 오산은 천첩이오 초수는 만중이라. 반죽에 젖인 눈물 이비한을 띠어 있고 무산에 돋는 달은 동정호에 빛취이니 무변한 상하천광 거울 속에 푸르렀다. 창호산 점은 연기 황릉묘에 잠겼어라. 삼엽의 잔나비는 자식 찾는 슬픈 소리 외로운 배손의 수심 심청밖에 또 있는가. 그렁저렁 떠나간게 인당수를 당도하였구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