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가난타령

  • 작성일2014-11-16

【정의】판소리 흥보가 중 흥보 또는 흥보 마누라가 가난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대목.

【형태, 기능 및 특징】<가난타령>은 진양조장단에 계면조가 결합하여 깊은 슬픔의 감정을 노래한다. 진양조장단은 판소리에 사용되는 장단 중 가장 느린 장단으로 평온하거나 이완된 느낌의 대목 또는 슬픈 대목에 주로 사용되고, 계면조는 떠는목과 꺾는목을 사용하여 애절한 느낌을 표현하기에 적절하다.

【내용】<가난타령>은 흥보가 중반부에 등장하는 대목이다. 추석 전날의 풍요로부터 소외된 흥보 가족의 참상(慘狀)을 그리고 있는데, 삼순구식(三旬九食:30일에 아홉 번 식사)도 제대로 못 할 정도로 굶으며 지내는 가난한 신세를 절절하게 한탄한다. 이본(異本)에 따라 흥보가 <가난타령>을 부르기도 하고, 흥보 마누라가 부르기도 한다.

판소리 흥보가 유파에 따라 <가난타령>은 등장하는 위치가 다르다. 동편제 흥보가에서는 흥보 제비가 보은표 박씨를 물고 흥보를 찾아오는 <제비노정기> 대목과 보은표 박씨를 심어 주렁주렁 열린 박을 타는 <박타령> 사이에 등장하고, 서편제 흥보가에서는 흥보네 집터를 잡아주는 도승 출현 직전에 나온다. 이처럼 출현 위치는 다르나, 공통적인 것은 흥보네 가난의 극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뒤이어 극적 전환이 이루어진다는 이다. 서편제 흥보가의 경우 도승이 새롭게 흥보네 집터를 잡아 주어 이 집터에서 보은표 박씨를 물어다 주는 제비를 만나게 되고, 동편제 흥보가에서는 <박타령> 대목이 이어지며 갖가지 보물을 얻어 부자가 된다. 가난의 극점과 이후 이어지는 국면 전환은 극명한 반전을 이루는 장치가 되고, 흥보네와 같이 어려운 형편이 일반적이었던 민중들에게 희망과 기쁨을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가난타령>에서 바로 <박타령>으로 이어지는 동편제 흥보가의 경우 국면 전환과 반전의 효과가 더 잘 이루어진다.  

【필자】신은주 

【참고 문헌】

「가난타령 고」(정양,『판소리연구』제9집, 1998)

「판소리 흥보가 <가난타령> 연구」(김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가난타령>(『강도근 5가 전집』)

가난이야, 가난이로고나. 원수 년의 가난이야. 잘 살고 못 살기는 묘쓰기여가 매였든가. 삼신 제왕님이 짚자리여 떨어질 적으 명과 수복을 점지를 했나. 어이하면 잘 살드란 말이냐. 박복한년으 내 신세야. 다른 집 여인덜언 팔월 가절이 오날이라, 어린 자식을 곱게 곱게 입히어 선산 성묘를 보내는디, 나는 무신 팔자간디 삼순구식을 못하고 살게 되니, 이런 팔자가 어디가 있나. 퍼버리고 앉어 울음을 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