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이왕직아악부원양성소

  • 작성일2014-11-16

【정의】일제강점기에 아악생들에게 조선왕조의 음악 전통을 전승시키기 위하여 아악부 산하에 설립한 부설 음악교육기관.

【유래 및 역사】1919년 아악생 양성소 규정이 제정되어 1920년 4월 아악생 9명을 모집하여 교육을 시작한 것이 효시이다. 처음에는 3년 과정으로 1923년 제1기생이 졸업함과 동시에 제2기생 18명을 뽑았고, 3년 후 1926년에는 제3기생 18명을 뽑았다. 제3기생부터는 교육 연한이 5년으로 연장되었기 때문에 제4기생은 1931년에 18명, 제5기생 18명은 1936년에, 제6기생 25명은 1940년에 모집되었다.

【내용】이왕직아악부원양성소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왕조의 음악 전통을 전승시키기 위하여 아악부 산하에 설립한 부설 음악교육기관이다.

 아악생들은 1, 2학년에 보통 학과인 조선어, 일어, 한문, 수신, 산술, 영어, 기악, 성악, 양악 등을 공부했고, 3, 4, 5학년에는 전공 악기인 가야금, 거문고, 피리, 젓대, 해금, 비파 등을 공부했다. 전공 교과 내용은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연례악, 여민락, 영산회상, 취타, 가곡 등이다. 3기생의 교육을 담당했던 사범으로는 거문고에 함화진(1884~1948), 이수경, 가야금에 김영제(1883~1954), 문묘악에 안덕수(1877~?), 종묘악에 박덕현, 가곡에 하규일(1867~1937), 피리에 이봉기(1853-?), 해금에 이원성, 젓대에 김계선(1891~1943) 등이 있다.

【필자】김해숙

【참고문헌】송방송, 한국음악사전(대한민국 예술원, 1985).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