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독주

  • 작성일2014-11-16

【정의】혼자 연주하거나 그 음악을 일컫는 말.

【유래 및 역사】조선 전기 한국 전통음악은 독주보다는 합주 중심으로 이어져온 경향이 강해서 독주 음악은 이 중 한 부분을 떼 내어 연주하는 관습이 있다. 또한 기악 독주 음악은 1890년경 만들어진 산조인데, 한국 전통음악에서 발생되어 많이 연주되며, 이로 인하여 전문 연주가 집단이나 명인 개 형성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악곡 양식의 발달을 가져오게 되었다

【내용】독주는 주로 기악 연주에 해당되고, 혼자 노래하는 것은 독창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피리나 대금 독주로 연주되는 상령산은 영산회상 중의 한 곡이지만, 이들 악기의 독주 음악으로 유명하다.

기악 독주 음악인 산조의 발달은 연주법에도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음악사의 발전 방향을 바꾸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음악 역사에서 기악곡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그 바탕에 성악곡이 발달해야 그 기본 재료가 많아지는데, 기악 독주곡인 산조도 혼자서 이끌어가는 판소리의 음악적 역량에 큰 힘을 얻었다.

【필자】김해숙

【참고문헌】백대웅, 인간과 음악(도서출판, 어울림, 1999). 백대웅, 다시 보는 판소리(도서출판, 어울림, 1996). 전지영, 조선후기 음악사(북코리아, 200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