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연례악

  • 작성일2014-11-16

【정의】조선 시대 궁중 연향의식에서 연주되었던 음악의 갈래를 총칭하는 말.

【내용】조선조 전기 궁중의 모든 의식은 예와 악을 일치하여 유교의 이념을 행하고자 반드시 음악과 함께 진행하였다. 각종 제사에 쓰이는 음악을 ‘제례악’, 임금의 거동이나 군대의 행차와 관련된 음악을 ‘군례악’, 각종 연회에 쓰이던 음악을 ‘연례악’으로 분류했다.

 국가적 규모의 5례 중 가례와 빈례가 궁중의 연례에 속하며, 연례에는 왕이나 왕비의 생신, 세자의 탄생, 책봉, 왕비의 호를 높여 주는 존호 의식, 왕과 신하 문무백관이 서로 화합하기 위해 정월 초하루나 동짓날에 여는 회례연, 노인을 공경하기 위한 목적으로 열렸던 양로연, 각종 제례 후에 하는 음복연, 중국 황제의 조서나 칙서를 받는 예나 사신을 위한 연향인 사객연 등이 있다.

 진연은 경사가 있을 때 궁중에서 베푸는 연향을 지칭하는 말이고, 진찬과 진작은 왕이나 왕비의 특정일을 맞아 음식을 올리는 연향을 말한다. 이들은 모두 진연의궤나 진찬의궤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때 음악과 춤이 화려하게 쓰인다.

연례에 쓰였던 음악으로는 수제천, 보허자, 낙양춘, 여민락 등이 있으며, 사용된 춤에는 향발무, 무고정재, 검무, 선유락, 처용무, 수연장, 헌선도 등이 있다.

【필자】김해숙

【참고문헌】송방송, 한국음악사전(대한민국 예술원, 1985). 송지원 지음, 장악원 우주의 선율을 담다.(추수밭, 2010).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