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수궁가

  • 작성일2014-11-16

【정의】

 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 하나. 별주부타령, 토별가, 토끼타령 등으로도 불린다.

【내용】

 용왕의 병을 고치기 위해 자라가 토끼를 꾀어 용궁으로 데리고 가지만, 토끼가 도리어 꾀를 내어 용왕을 속이고 살아 돌아온다는 이야기이다. 전체 연주 시간은 약 2시간 정도로 짧은 편이다.

 수궁가는 적어도 영?정조 무렵부터 판소리로 불렸을 것으로 추측되며 송만재의《관우희》, 이유원의《관극팔령》과 같은 문헌에 기록이 있다. 수궁가를 잘 불렀던 역대 명창들로는 순조 때의 신만엽, 염계달, 철종 때의 송우룡, 김거복, 김수영, 고종 때의 김찬업, 유성준, 일제 때의 임방울, 김연수 등이 있다. 수궁가의 알려진 더늠으로는 신만엽의토끼기변',소지노화가 있다.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 수궁가는 송흥록-송광록-송우룡-유성준-김연수?임방울?정광수를 거쳐 박초월?오정숙 등으로 이어지는 유성준제, 송만갑-박봉래-박봉술로 이어지는 송만갑제, 정응민-정권진-조상현으로 이어지는 정응민제가 있다. 이외에 경기·충청에서 전승되던 중고제 수궁가는 김창룡을 끝으로 전승이 거의 끊어졌고, 정창업에서 김창환, 김봉학으로 전승되던 서편제의 수궁가도 전승이 끊어졌다. 그리고 이날치에서 김채만으로 내려오던 수궁가도 거의 전승이 끊어져 가고 있다. 현재 불리는 수궁가 가운데 가장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는 바디는 유성준의 것이다. 유성준에게 수궁가를 배운 제자들은 임방울, 김연수, 정광수 등인데, 세 명의 수궁가가 음악적으로나 문학적으로 상당히 다른 양상을 띤다. 이는 스승의 소리를 자신의 것으로 승화시킨 결과이다.

 수궁가의 대표적인 대목은용왕탄식-진양조,약성가-자진모리,토끼화상-중중모리,고고천변-중중모리,토끼와 자라-중중모리,토끼기변-중모리,가자가자-진양조,토끼욕설-중모리, 추천목등을 들 수 있다. 사설 구성은 바디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정응민 바디의 뒷부분은 장면 확대가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수궁가는 음악적으로 다양한 악조와 장단의 사용을 보여준다. 병든 용왕을 표현하는 웅장한 우조와 계면조의 조합, 토끼의 추천목, 초동패의 메나리조, 가마귀의 경드름, 호랑이의 설렁제 등 쓰이지 않는 악조가 없으며, 산신제 대목에서는 축문을 읽기도 한다. 또한 토끼의 재치 있는 행동을 묘사하는 화려한 붙임새, 신비한 수궁 풍경을 그려내는 엇모리장단 등 장단에 있어서도 그 쓰임이 매우 다양하다. 이처럼 용왕과 신하들을 표현하는 장중한 우조와 평조 때문에 창자들은 수궁가를 ‘소적벽가’라고 하였으며, 19세기 양반들은 수궁가를 적벽가와 같은 수준의 소리로 높게 평가하였다. 수궁가는 많은 동물들이 등장하는 우화적인 이야기를 소재로 하고 있어서 재치 있고 아기자기한 기지와 해학적인 맛이 있으며, 음악적으로도 다양한 악조와 장단을 사용하고 있다.

【필자】김혜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