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봉죽타령

  • 작성일2014-11-16

 

【정의】

 를 축하하며 부르는 노래. 본래 황해도 지역의 민요이나 서해안 일대에 퍼져서 전승되고 있으며 배치기소리, 봉기타령, 풍장소리 등으로불림.

【내용】

 ‘봉죽(봉기)’이란 잡힌 고기의 양을 재는 장대인데, 끝에 오색 종이꽃으로 장식을 달아 만선이 됐음을 알리는 표시로 사용되었다. 서해안에서 조기를 잡아 배의 바닥에 넣어두는데, 여기에 봉죽을 꽂아서 고기가 어느 정도 찼는지를 계산하게 된다. 또한 봉죽으로 만선이 되었음을 알리면, 육지와 바다를 오가면서 고기를 운반하는 중간 상인이 시선배를 가지고 와서 고기를 실어 가게 된다.즉, 타령에서의봉죽은 풍어의 상징인 셈이다. 고기잡이를 마치고 집으로 귀항할때에도 배에 봉죽을 달고 풍물을 치며 흥겹게 노래를 하고 춤을 추며 들어오는데 이를 ‘배치기’라고 한다. 처음에 조기잡이를 나갈 때에도 배치기를 하고 정초에 고사를 지낼 때, 황해도 무당의 배연신굿이나 풍어굿, 어촌의 마을굿 등에서도 이 소리를 하면서 풍어를 기원한다. 무당굿에서의 봉죽타령은 무당이나 무당의 일행이 부르기도 하지만 마을사람들이 동참하여 노래하기도 한다.

상수하(水上水下)는 물 위와 물 아래를 의미한다. 한 쌍만 남기고 다 잡아들이라는 이야기는 물고기의 씨는 남겨두고 나머지는 최대한 많이 잡고 싶다는 어부의 마음을 담은 가사이다.

 ‘레,,,도’의 음계를 사용하는 수심가조로 되어 있으나 ‘라,,,,솔’의 난봉가조로 노래하기도 한다. ‘솔’은 전혀 사용하지 않고 대신 ‘라’음을 떤다. 음계의 가장 아래 음인 ‘레’음으로 종지하고 있다. 수심가조의 선율 진행과 시김새의 특성이 잘 드러난 곡이다. 보통 빠르기의 3소박 4박이며 풍물 악기로 화려한 굿거리형 장단을 연주한다. 가창 방식은 2장단을 메기고 3장단을 받으며, 이어 풍물굿 가락이 2장단 연주된다. 

【필자】김혜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