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거문도 뱃노래

  • 작성일2014-11-16

 

【정의】

 전라남도 여천군 삼산면 거문도 일대에서 멸치잡이를 할 때부르는 일노래. 1972년 전라남도 지방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

【내용】

 거문도 뱃노래는 술비소리,늦은놋소리,자진놋소리,올래소리,가래소리,썰소리,어영차소리 등으로 구성된다. 교과서에는 이 가운데 늦은놋소리, 즉 느린노 젓는 소리만을 거문도 뱃노래라 하여 수록하고 있다.

 ‘,,,,,미’의 음역이 넓은 육자배기조로 되어 있다. 받는소리는 ‘라-미’의 두 음으로 단순한 하행진행을 반복하지만 메기는소리는 높은 음을 질러 화려한 시김새로 노래하며, ‘레’음을 지속하여 판소리의 엇청처럼 소리하기도 한다. 메기는소리와 받는소리의 음악적 차이가 심한 것은 메기는소리를 부르는 분이 판소리를 익힌 바 있는 소리꾼이기 때문이다. 이 곡은 받는소리로 악곡을 종지하므로 종지음은 ‘미’음이 된다. 본래는 자진노 젓는 소리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빠르게 몰아 끝을 맺는다.

 3소박 4박자의 중중모리형 리듬에 가까우며 점점 속도가 빨라져 자진노 젓는 소리가 되면 자진모리장단에 맞추어 부른다. 1장단을 메기고 1장단을 받는다. 일반적으로노 젓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자유자재로 노래를 부르기 때문에 헤테로포니가 만들어지는데 거문도 뱃노래의 경우에는 일찍부터 한국민속예술경연대회 출전하고, 문화재 지정으로 인한 고착화로 인해 그러한 현상을 보기 어렵다.



【필자】김혜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