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상여소리

  • 작성일2014-11-16
 

【정의】

 상여를 들고 행진하면서 부르는 노래. 향도가, 향두가, 상두가, 상부소리라고도 함.

【내용】

 상여소리의 주 내용은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면서 산 사람에게는 액이 들지 말고 복만 들기를 기원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또한 이별의 슬픔과 영원한 삶에 대한 소망도 담겨 있다. 행진하면서 부르는 소리이기 때문에 3소박 4박자의 중중모리형 장단에 맞는 노래가 많으며, 가파른 언덕이나 산을 오를 때에는 매우 빠른 2소박 4박의 단모리형 장단의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음계는 각 지역의 민요조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로 메나리조로 된 상여소리가 전국적으로 불린다. 이는 불교음악이 메나리조로 되어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본다.

 상여의 운반은 여럿이 호흡과 발을 잘 맞춰야 하는 일이다. 집을 떠날 때, 가파른 언덕이나 산길을 오르고 내릴 때, 개천이나 다리를 건널 때, 장지에 도착할 때 등 상황에 따라 가락과 사설이 다르며 지역에 따라 가락·사설·뒷소리 등에 차이가 있다. 가창 방식은 앞소리꾼이 요령을 흔들면서 "북망산이 머다더니 저 건너 안산이 북망이네." 등으로 앞소리를 메기면, 상여를 맨 상여꾼들이 뒷소리를 받는다. 뒷소리는 "관암보살. “나무아미타불."과 같은 불교용어들을 사용하기도 하고, "어허이 어허.", "어허넘차 어허.",어이가리넘차.“,에헤에헤.“등 구음을 많이 사용하는 등 매우 다양하다.

 상여소리는 장례에 사용되는 의식요이면서, 노동과 연계된 노동요이기도 하다. 망자를 보내는 의식적 사설내용과 장례 의식에 따른 구조적 짜임새, 발을 맞추고 힘을 덜려는 장단의 기능적인 요소와선율이 있다. 또한 사설 안에는 노래를 부르고 듣는 사람들망자를 떠나보내는 마음이 잘 녹아 있다.

 상여소리는 관을 움직이는 시점에서 부르는 축원만가, 상여를 운반할 때 부르는 운상만가,  무덤을 다지는 성분만가로 나눌 수 있다. 대체로 축원만가는 지역에 따라서 간단히 부르기도 하고 없는 경우도 많다. 운상만가는 느린 것과 빠른 것의 두 가지를 부르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성분만가는 남쪽지방에서는 부르지 않으나 충청도부터 경기도,강원도 등 땅이 좋지 않은 곳일수록 많이 불린다.

 

필자】김혜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