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장장 짚세기

  • 작성일2014-11-16

【정의】

 뜀뛰며 부르는 놀이노래. 강강술래의 부수 놀이로 놀기도 함.

【내용】

 장장 짚세기는 강강술래의 받는소리를 생략하고 메기는소리만을 연결하여 부른 노래이다. 악곡의 끝에아라라라라?산아지로고나.”의 가사 부분은 남도아리랑의 받는소리이다. 남도아리랑은 진도아리랑의 전신에 해당하는 악곡이며,아리나 사라라라 허정 절씨구 산아지로고나.”는 진도아리랑과 산아지타령의 받는소리와 같은 선율이다. 즉 장장 짚세기는 강강술래와 남도아리랑(진도아리랑)의 두 곡이 섞인 것이다. 장장 짚세기의 가사는 짚세기, 나막신 등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강강술래의 부수 놀이 가운데 하나인 ‘손자랑 발자랑’계열의 악곡으로 생각된다.

 “장장 짚세기 발도벗고 좋아요.”는 짚신을 삼아 신고 장장 밟아 평평하게 고르면 맨발로 신어도 편안하다는 의미이다. ‘아지개자지개’는 길고 짧은 모양을 말하며, ‘지주개 나까래 전빵’은 풀쩍 뛰어 건너는 모양을 나타낸다.

 장장 짚세기는 3소박 4박의 자진모리장단으로 부르다가, 마지막 한 장단은 3소박 3박의 세마치장단으로 부른다. ‘아라라라라’부터 남도아리랑의 받는소리이며, 이 곡의 후렴구 역할을 한다. 사용하고 있는 음계는 ‘미,,,도’의 육자배기조이다. 세 번째 마디에서 ‘시’음을 상행 때 사용하고 있으나 본래 신안 지역에서 불리는 장장 짚세기에서는 ‘도-시’의 진행을 한다. 제창으로 노래한다.


【필자】김혜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