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지사항(상세) | 국립국악원

보도자료

인공지능이 이어준 600년 전 우리 음악

‘인공지능이 이어준 600년 전 우리 음악’

- 인공지능 고음악 복원 사업 성과 발표 및 시연회 -

6. 2.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화평’,

‘취풍형’ 복원 사업 성과 발표 및 시연회 개최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 이하 국악원)은 6월 2일(일) 오후 3시,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인공지능이 이어준 600년전 우리 음악’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2023년부터 국악원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방식을 통해 복원한 ‘치화평’과 ‘취풍형’을 시연하고 그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로, 복원 과정에 대한 과학적 설명과 함께 복원된 음악을 확인할 수 있는 시연 공연까지 마련되어 관심을 끈다.

 

악보로만 남아있던 옛 음악에 생명을 불어넣다

 

이 사업은 ‘현재 악보로만 전하는 옛 음악이 지금까지 연주되고 있다면 어떤 음악일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세종실록』에는 「용비어천가」를 바탕으로 세종대왕이 직접 작곡한 <여민락(與民樂)>·<치화평(致和平)>·<취풍형(醉豐亨)>이 악보로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여민락>은 다양한 변화 과정을 거쳐 지금까지 연주되고 있지만 나머지 두 곡은 전승이 단절되었다. 이에 <여민락>이 변화해 온 과정을 인공지능에게 학습시켜 옛 <치화평>과 <취풍형> 악보에 그 방법을 적용해 보기로 하였다. 2023년초에 기획하여 7월까지 관계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를 통해 사업의 가능성을 타진하였고, 8월부터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하였다.

 

진화 알고리즘과 딥러닝, 두 갈래의 길을 거쳐 두 종류의 음악 생성

 

첫 번째 기법은 진화알고리즘 방식으로, 무작위로 생성된 악보(초기세대)를 시작으로,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세대를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개선된 악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조선후기 <여민락> 악보가 대부분 거문고 악보로 남아있기 때문에, 거문고 선율을 먼저 생성하고 그 후 가야금, 피리, 대금, 해금, 아쟁 등의 합주 악기 선율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인공지능 모델은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기반의 딥러닝 방식으로, 광학 인식 기술로 <여민락> 악보를 학습하고, <치화평>과 <취풍형>의 정간보 악보를 토대로 주선율인 피리 선율을 먼저 생성하였다. 피리 선율을 바탕으로 대금, 해금, 아쟁, 가야금, 거문고 등 각 악기 선율을 완성하는 방식이다.

 

특히 딥러닝 방식의 <치화평>과 <취풍형>은 경복궁 수정전에서 거행된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 행사’(2024. 5. 14.)에서 연주되어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번 성과발표에서는 두 가지 기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듣고, 국립국악원 정악단이 연주하는 두 종류의 <치화평>과 <취풍형>을 비교 감상해 볼 수 있다. 시연 후에는 관계 전문가들의 평가와 관람객의 의견을 청취하는 자유 토론이 마련되어 있어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것이다.

 

고음악 복원을 통해 전통을 잇고 태평성대를 이루다

 

<여민락>ㆍ<치화평>ㆍ<취풍형>은 ‘백성과 함께 즐기고[여민락], 평화를 이룩하며[치화평], 풍요를 누린다[취풍형]’는 뜻으로,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을 드러내는 음악이다. 이 세 곡은 <봉래의(鳳來儀)>를 연행할 때 춤과 함께 연주되었는데, <봉래의>는 성군의 덕치(德治)로 태평성대를 이루면 나타난다는 전설 속의 봉황(鳳凰)이 날아오기를 기원한다는 의미다.

 

그동안 국립국악원에서는 현재 연주되는 <여민락>을 중심으로 <봉래의>를 연행해 왔으나, <치화평>과 <취풍형>이 복원되면 <봉래의>를 완성할 수 있게 되어 조선 전기 예악 정신과 궁중예술의 아름다움을 세상에 알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나날이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악보로 남겨진 다수의 고려가요와 조선 시대 음악을 복원함으로써 전통예술의 역사적 기반을 다지고 레퍼토리를 확장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이는 4차 산업혁명과 문화가 지혜롭게 공존하는 좋은 사례로서, 미래 세대에게 풍요로운 문화를 전해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김영운 원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인공지능과 국악의 만남’이 활발해지기를 바란다.”라며, “이 곡을 작곡하신 세종대왕의 뜻을 되새기고, 국악을 통해 백성과 함께 즐기고 평화를 이룩하며 풍요를 누리길 기대한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