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학술·정보 | 국립국악원

학술·정보

[무용역사기록학회] 2020 전통예술 복원 및 재현사업 (근대의 춤유산 신민요춤의 재발견) 재현공연 안내

안녕하세요.
무용역사기록학회 사무국입니다.
   
본 학회에서는 9월 13일(일)에 2020 전통예술 복원 및 재현사업 (근대의 춤유산 신민요춤의 재발견) 재현공연을 개최합니다.    
※ 코로나19가 확산함에 따라 부득이하게 행사를 무관중으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다  음 -



◇ 2020 전통예술 복원 및 재현사업 (근대의 춤유산 신민요춤의 재발견) 재현공연 
 
• 일 시 : 2020년 9월 13일(일) 오후 5시  
 
• 장 소: 서울돈화문국악당 

 
• 공연 소개: 신민요춤은 일제강점기 음반시장의 형성으로 대중화된 신민요와 더불어 1960년대까지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 널리 유행하였던 춤으로 
                  1928년 배구자의 (아리랑)을 효시로 보고 있다. 이 공연은 배구자의 춤, 노래, 기사 등의 자료와 1957년과 1960년의 문화영화에 수록된 
                  권려성의 신민요춤을 연구하여 (천안삼거리), (늴리리야), (처녀총각)의 음악과 춤을 재현하고자 한다.  
 
1. (천안삼거리) - 신민요 (천안삼거리(天安三巨里))는 굿거리장단에 맞춰 흥겹게 부르는 노래로 그 흥겨움을 표현하는 "흥~"이라는 가사 때문에 
                          (흥타령)이라 부르기도 한다. 원음은 최승희와 쌍벽을 이루던 신무용가 배구자(裵龜子, 1907~2003)가 1936년 7월에 포리돌레코드에서 
                          배구자악극단(裵龜子樂劇團), 소녀합창단(小女合唱團)과 같이 부른 민요이며, 영상과 문서 자료의 출처는 1957년 공보실 선전국 영화과 
                          에서 제작한 (내 강산 좋을시고)(이형표 감독)이다. 이 영화에서 권려성무용단의 여성무용수 1명이 수건을 들고 춤을 추었다.   
 
2. (늴리리야)- 신민요 (늴리리야)는 굿거리장단의 노래로 본래 무당들이 굿을 할 때 부르던 무가(巫歌) (창부타령)에서 전화(轉化)되었다.
                       원음, 영상, 문서 자료의 출처는 1960년 공보실 선전국 영화과에서 제작한 (흘러간 옛노래)(양종해 감독)이다. 이 영화에는 
                       권려성무용단의 여성무용수 6명이 출연하였으며, 깡통치마와 하얀 저고리를 입고 댕기머리를 하고 있다.  

3. (처녀총각) - 신민요의 전성기를 이끈 곡이다. 그런데 배구자의 후계자 배한라가 운영하던 하와이의 할라함무용학원에서는 (군밤타령)을 반주로 
                       하며, 1960년 (흘러간 옛노래)에서 권려성무용단이 추는 (처녀총각)은 (양산도)를 반주음악으로 한다. 영상에서는 처녀, 총각 복식을 한
                       2쌍의 무용수들이 출연한다.  
댓글등록 현재 0자 (최대 1,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