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교육·행사 | 국립국악원

교육·행사

음악극 '공무도하, 님아 저 물을 건너지 마오.' 관람후기

음악극 ‘공무도하 님아, 저 물을 건너지 마오.’ 관람후기.
 
지난 몇 년간 부산과 서울의 국립국악원의 공연들을 눈과 귀로 즐겨오며 국립국악원에 감사하는 한 명의 시민으로서, 그간의 국립국악원에서 진행하였던 공연들이 우리의 전통음악을 보존하고 지켜갈 인재들을 선보이고, 국악의 새로운 시도를 하는 젊은 세대들을 담아내는 공간이었다면, 이번 공연은 국악원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만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공간으로서 국악원이 한층 더 발돋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공연이었따.
 
그렇지만, 기대가 너무 컸던 것일까? 뮤지컬이라는 서양의 극 형식에 너무 익숙해서일까? 이번 공무도하는 익숙했지만 낯설었고, 단순했지만 너무 산만했다. 이야기의 전개에도 찢어진 종이를 다시 붙여 하나로 만들어 놓은 것처럼 어색함을 덜 수 없었다.
 
배우들의 목소리와 몸짓과 감정에선 공연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여실히 드러났고, 기량은 매우 우수했다. 무대의 배경은 웅장했고, 많은 요소가 무대 위에 올려졌으며, 그들과 함께하는 오케스트라의 기량역시 매우 우수했다. 그러나 그 우수한 모든 것이 모여 만드는 극은 어딘지 모르게 평소 국악공연들과는 달리 서로 조금씩 맞지 않는 톱니바퀴같았다.
공연을 관람할 때 약간의 의무감을 가지고 보아서일지 몰라도 이런 것들이 눈에 들어와 아쉬웠다.
 
그러나 분명 이러한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가 나에게 와주었단 사실에는 감사한다.
 
서양의 고전연극은 극작가와 음악가가 남긴 책과 악보가 존재하나, 우리의 고전극은 그러한 물리적인 유산보다는 구전으로 전해지기에 그 명맥이 이어지기도 하고 끊어지기도 한다. 그러한 상황국내에서 무대 위에 오르는 우리 이야기를 담은 웅장한 뮤지컬 중 대부분은 구전으로 전해지는 우리의 전통이야기보다는 현대에 창작된 고대의 이야기를 담고, 현대에 창작된 현대식의 음악으로 채워진다. 서양의 고전이 전 세계에서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고 위대한 작품이라 평가받아지는 것에 비해 우리의 고전은 우리만이 아는 때로는 우리조차도 잘 모르는 이야기로 남아있는데에는 이러한 속사정 때문일 듯도 하다.
 
그러한 상황에서 새로이 시도된 음악극 공무도하의 가치는 감히 논하기에 어렵다. 아직 극의 완성도가 조금 부족해보이기는 하나 분명 새로운 시도였고, 이는 높은 가치로 평가받아야 마땅하다 여겨지기 때문이다.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임아 저 물을 건너지 마오’ 이 짧은 한 줄의 고대시를 풀어 이야기를 담는다는 것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음악과 무대, 어느 것 하나 쉬이 창작해낼 수도 없었을 것이다. 이미 그려진 그림 위에 색을 덧칠하는 것은 비교적 쉽게 할 수 있으나, 백지에 새로운 그림을 그리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기에 음악극 공무도하는 계속해서 다듬어져 우리뿐만 아니라 세계에 선보일 수 있는 공연으로 롱런할 수 있기를 바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것을 세상으로 드러낼 많은 시도들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댓글등록 현재 0자 (최대 1,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