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지사항(상세) | 국립국악원

보도자료

북한음악 연주회 및 학술회의 <북한의 민족기악> 개최

전통악기를 개량한 북한의 민족악기, 현존하는 북한의 민족기악을 한 무대에서 만난다!

북한음악 연주회 및 학술회의 <북한의 민족기악> 개최

오는 11월 10일(월), 북한의 ‘민족악기’와 음악, 국립국악원 무대에서 공개해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오후 2시 학술회의, 오후 7시 연주회 가져

 

북한의 민족기악

 

국립국악원(원장 김해숙, www.gugak.go.kr) 국악연구실에서는 오는 11월 10일(월) 오후 7시에 ‘제1회 북한음악 연주회’를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개최한다. 연주회에 앞서 오후 2시에는 ‘제1회 북한음악 학술회의’도 마련한다.

 

북한의 악기 개량, ‘민족악기’

 

□ 국립국악원의 북한음악 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한 이번 행사는, 서양음악 체계를 수용하며 전통 악기의 저변을 넓힌 북한의 ‘악기 개량’ 과정과 결과를 학술적인 논의와 실제 연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자리로 구성해, 좀처럼 접하기 힘든 뜻 깊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북한은 1950년대 후반부터 전통악기 개량 사업을 시작하여 ‘민족악기’라는 이름으로 해금(소해금, 중해금, 대해금), 피리(대피리), 대금(고음저대, 중음저대, 저음저대), 가야금(21현 가야금), 태평소(장새납)등 전통악기를 개량해 실제 연주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1970년대 이후 옥류금, 어은금 등 새로운 형태의 악기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데, 이들 악기들은 서양악기와 같이 함께 연주할 수 있도록 개량된 것이 특징이다.

 

북한의 ‘민족악기’로 연주하는 북한음악, 국립국악원 무대에서 만난다!

 

□ 이번 ‘제1회 북한음악 연주회’에서는 실제 북한에서 연주되고 있는 곡 중, 정치색이 없는 곡들을 ‘민족악기’ 연주로 감상할 수 있도록 마련했다.

 

□ 이번 연주회에는 북한평양무용대학 출신 연주자 박성진을 비롯해 북한음악을 연주하고 있는 중국 연변 예술가들로 구성해 연주를 한다. 지휘는 중국 연길시 조선족예술단의 국가1급 연주원인 이동식 선생이 맡았으며, 16명의 연주자들이 여덟 곡의 북한 기악곡을 연주한다.

 

□ 연주곡으로는 목관 4중주 ‘새봄과 종다리’, 대피리 협주 ‘룡강타령’, 양금 독주 ‘아리랑’, 장새납 협주 ‘풍년든 금강마을’ 저대 협주 ‘은하수와 봉황새’, 소해금 2중주 ‘능수버들’, 가야금 협주 ‘바다의 노래’, 기악합주 ‘도라지’ 등이다.

 

북한의 악기 개량 과정과 결과 모색해보는 학술회의 마련해

 

□ 북한음악 연주회에 앞서 오후 2시 학술회의에서는 ‘북한의 악기개량’을 주제로 연구자들이 발표와 토론을 진행한다. 남북한 전통음악계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기악음악 및 악기 연구에 관한 성과를 나누는 자리이다.

 

□ 특히 북한 악기개량의 배경과 실행 과정을 재정리 하고, 1967년부터 2014년도 까지 북한의 월간지 ??조선예술??에 게재된 악기 개량 관련 연재기사를 분석해 악기 개량에 관한 북한의 담론을 시대적으로 구분해 검토해본다.

 

□ 또한 북한 개량 악기를 음향학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 악기들의 편성 방법 등을 고찰하며, 현재 북한이 국가의식에서 사용하는 음악을 정리해 본다.

 

□ 이번 학술회의 및 연주회에 관심 있는 사람은 사전 등록 없이 누구나 무료로 참가, 관람이 가능하다. 11.10.(월) 14:00~18:00(학술회의) / 19:00~20:00(연주회), 국립국악원 우면당

(문의 02-580-3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