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지사항(상세) | 국립국악원

보도자료

국립국악원 8월,「공감! 젊은국악」

우리 시대 전통을 이어가는 젊은 예인들의 무대

립국악원 8월,「공감! 젊은국악」

오는 8월 20일(화)부터 23일(금)까지, 4일간, 가야금병창과 가야금, 거문고, 전통 춤으로 꾸며져


국립국악원(원장: 이동복, www.gugak.go.kr)은 오는 8월 20일(화)부터 23일(금)까지 4일간, 우면당에서 젊은 국악인들의 월별 주중 상설 공연인「공감! 젊은 국악」무대를 선보인다.


전통 및 창작 국악 대중화를 위해, 젊은 예술가 지원을 통하여 마련되는「공감! 젊은 국악」 새로운 실험정신을 가진 젊은 예술가들을 위한 무대로 전통문화를 전승하는 이들과 젊은 국악 애호가들을 위한 상설공연이다. 8월에는 가야금과 거문고, 전통무용으로 수놓을 한여름 밤의 다채로운 무대가 4일간 이어진다.

   (8월 20(화)~23(금), 19:30, 국립국악원 우면당, 전석 10,000원 / 문의:02-580-3300)


[8/20 - 가야금병창 창작그룹] The '安‘ ’안‘에서 놀다

8월의 첫 무대는 젊은 가야금병창 창작그룹「The 安」(더안)이 실험적인 무대를 마련한다.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 ‘향수’의 이야기, 조선시대 문인 임제와 평양기생 한우가 주고  받은 시조 ‘한우歌’, 등은 가야금병창을 통해 새로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경기도당굿 장단과 무가(巫歌) 등의 가락은 실험적인 연주로 새로운 창작 예술의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

   <‘안’에서 놀다>라는 제목의 이번 공연은「The 安」의 활기 넘치는 젊은 여성 여섯 명의 멤버와 김덕수사물놀이패의 수석단원 소경진이 출연한다.


[8/21 - 전통 가야금] 정지연 가야금독주회 ‘길’

8월의 두 번째 무대는 가야금 연주자 ‘정지연’의 독주회로 꾸며진다. 가야금 산조의 대표적인 명인 ‘성금연’의 산조와 창작곡을 연주한다. 명쾌하고 감칠맛나는 연주로 1960~1970년대 가장 많이 연주된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와 1965년 ‘바리공주 설화’를 듣고 그 감흥을 옮겨 작곡한 ‘성금연’의 창작곡 ‘새가락별곡’이 연주된다. ‘정지연’은 이번 독주회에서 ‘성금연’ 명인의 가야금 인생 ‘길’에 따른 음과 장단, 성음, 주법에 대한 연주자의 진지한 고민과 해석을 무대에서 연주를 통해 담아낼 예정이다.


[8/22 - 전통 거문고] 이선화 거문고독주회 ‘玄琴風流 - 줄풍류와 산조’

8월 22일(목)은 이선화(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의 거문고 독주회가 선보인다. 이번 무대는 풍류방에서 향유된 ‘줄풍류’ 연주와 ‘거문고 산조’로 꾸며진다. ‘줄풍류’는 가야금 명인으로 잘 알려진 ‘김죽파’의 ‘줄풍류’를 연주한다. 섬세한 음정구성과 박자의 유연함이 돋보이는 ‘김죽파 거문고 줄풍류’는 현재 음원으로만 전해지는데, 이번 무대에서는 연주자가 직접 채보해  단소, 양금의 합주로 선보인다. ‘거문고 산조’는 ‘정대석류 거문고 산조’가 연주된다. ‘백낙준’에 의해 시작된 ‘거문고 산조’는 ‘정대석’에 의해 약 100여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완성되어 ‘정대석류 거문고 산조’로 이어진다. 이번 연주에서는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엇모리-자진모리로 연주한다.


[8/23 - 전통 무용] 한누리무용단 - ‘和微妙變飾’(화미묘변식)

8월의 마지막 무대는 ‘한누리무용단’의 전통춤으로 마무리 한다. ‘정밀하고 상세하게 깊숙한 곳까지 이치에 맞게 찾아내 화합하고 오묘하게 변화시켜 꾸며낸다’는 의미를 담고있는 공연 제목 ‘和微妙變飾’(화미묘변식)에는 우리 춤을 통해 현대인들과 전통 예술의 소중한 가치를 교감하고자 하는 무용단의 철학이 담겨있다. 승무, 부채춤, 검무, 살풀이춤, 태평무 등 총 9가지의 다채로운 전통춤이 무대에 오른다.


□ 젊은 국악인들의 지원 무대인 2013 "공감! 젊은 국악"에는 총 52개 단체가 지원해, 서류 및 프리젠테이션, 면접 심사를 거쳐 최종 32개 단체가 선정되었다. 

공공누리
국립국악원 이(가) 창작한 국립국악원 8월,「공감! 젊은국악」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