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목록)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 117

    [] 서우젯소리

    【정의】 제주도의 굿에서 노래하는 민요형의 노래, 또는 일노래의 끝부분에뒤풀이로 부르는 노래. 【내용】 서우젯소리는 민요형의 노래인데 무당굿에서도 불린다. 제주도 영등굿의 석살림이나 영감놀이 등의 재차에서 부르는데, 영감신이 한라산에 와서 영감놀이를 하는 과정까지 풀이하는 노래와

    작성일2014-11-16

  • 116

    [] 둥개둥개 둥개야

    둥개둥개 둥개야

    【정의】 아기를 어르면서 부르는 노래. 우는 아이를 달래거나 걸음마를 시킬 때 부름. 달강달강이나 불아불아도 같은 기능의 노래. 【내용】 ‘둥개둥개 둥개야 두둥 둥개 둥개야’의 2장단을 후렴처럼 가끔씩 반복하여 사용한다. 가사를 만들다가 적절한 가사가 생각나지 않을 때 이러한 반복구를 활용한다. 노랫말에는 동물들을 풀어내는 가사를 담기도 하고, 가족 간의 화목이나 형제간의 우애 ...

    작성일2014-11-16

  • 115

    [] 자장가

    자장가

    【정의】 아기를 재우면서 부르는 민요. 【내용】 “자장자장 우리 아가.”의 가사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며, 사이사이에 아이를 위한 가사를 노래한다. 가사의 내용은 잠을 잘 자라는 것이나 잘 커서 훌륭한 사람이 되라는 것, 예쁘게 잘생겼다는 것 등으로다양하며, 노래 가사는 대개 4?4조이다. 음악적 형식이나 선율은 매우 단순하여 각 지역 민요의 가장 기본적인 선율 형태를 보여준다 ...

    작성일2014-11-16

  • 114

    [] 싸름

    싸름

    【정의】 황해도 지역의 유희요. 【내용】 싸름타령이라고도 한다. 싸름은 쓰르라미의 방언이다.본래의 가사는“돗자리 깔고 술푸념하세.”와 같은 통속적인 내용이 많으나 각색하여 교육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레,미,솔,라,도,레’의 수심가조이며, ‘솔’은 사용하지 않고, ‘라’음을 떨며, ‘도’음은 흘러내리는 시김새가 잘 표현되는 곡이다. 아래쪽 ‘라’음을 짧게 쳐서 사용 ...

    작성일2014-11-16

  • 113

    [] 해남엿장수타령

    해남엿장수타령

    【정의】 엿장수가 부르던 노래. 【내용】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의 박순례(여, 1919)가 4-50대에 배워 부른 노래여서 해남엿장수타령이라 명명하였다. 그러나 유사한 노래가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다. 해남과 가까운 진도군에서도 의신면 돈지리의 박색구(여, 1909-1992)가 부른 엿장수타령이 이 노래와 유사하며, 그의 아들인 조오환씨가 더 많은 사설을 확보하여 ...

    작성일2014-11-16

  • 112

    [용어] 창극

    【정의】 1인창의 판소리를 여러 사람이 참여하는 음악극 형태로 바꾸어 놓은 것. 무대에서 배역을 나누어 연극적 형태로 연행하며, 창에는 관현악 반주가 따름. 【내용】 20세기에 들어 일본의 신극, 청의 창희 등 외부의영향을받아 판소리를 배역에 따라 분창하는 입체창이 만들어졌고 이것이

    작성일2014-11-16

  • 111

    [] 심 봉사 눈 뜨는 대목

    【정의】 판소리 심청가 가운데심 봉사가 황후가 된 심청을 만나 눈을 뜨는 대목. 【내용】 심청이 인당수에서 다시 살아나 황후가 된 후 맹인 잔치를 벌여 아버지와 상봉하게 되는데, 이때심 봉사가 딸을 보기 위해 눈을 뜨게 되는 대목이다. 심청가 가운데 가장 극적인 장면이라 할 수 있

    작성일2014-11-16

  • 110

    [] 상좌 다툼

    【정의】 판소리 수궁가 가운데 동물들이 상좌를 정하기 위해 서로 나이가 많다고 우기는 대목. 【내용】 자라가 용왕의 병을 낫게 하기 위해 토끼를 구하러 육지로 나왔을 무렵 마침 온갖 짐승들이 모여서 상좌를 정하기 위해 누가 나이가 많은지를 이야기하고 있는 대목이다. 상좌 다툼은 날

    작성일2014-11-16

  • 109

    [] 박타령

    【정의】 판소리 흥보가 가운데 박을 타는 대목. 흥보가의 대표적인 곡으로 흥보가 전체를 박타령이라 부르기도함. 【내용】 판소리 흥보가에서흥보와 놀보가 박을 타는 대목에서 부르는 노래가 박타령이다. 흔히 박타령으로 독립하여 노래하는 경우 흥보가 박타는 장면을 자주 노래하는데, 흥보의

    작성일2014-11-16

  • 108

    [] 창작판소리

    【정의】 새로운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 고전소설을 판소리화한 경우 신작 판소리 또는 복원 판소리라 하여 창작 판소리와 구분하기도함. 【내용】 창작 판소리의 시작은 김창환에 의해 1904년 만들어진‘최병두타령’으로부터 보며, 일제강점기에는 정정렬이 ‘숙영낭자전’과‘옥루몽’등 전래되

    작성일2014-11-16

667건 (56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