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목록)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 197

    [용어] 고고천변

    【정의】판소리 수궁가 중 자라가 토끼를 잡으려고 세상에 나와 아름다운 산천경치를 읊는 대목. 또는 이를 따로 떼어 부르는 단가나 가야금병창. 【유래 및 역사】<고고천변>은 비교적 그 연원이 오래된 곡이다. 1879년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악보『금보(琴譜)』에 ‘영산(靈山)’이

    작성일2014-11-16

  • 196

    [곡명] 강상풍월

    【정의】한가로운 강 주변 풍경을 노래한 단가. 【유래 및 역사】<강상풍월>은 그리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세기 초에 정정렬이 녹음한 것이 있고, 이후 김소희 ? 성우향 등 주로 광복 이후에 활동한 명창들에 의해 활발히 불렸다. 현재도 많은 명창들이 즐겨 부른다. 【형

    작성일2014-11-16

  • 195

    [곡명] 가난타령

    【정의】판소리 흥보가 중 흥보 또는 흥보 마누라가 가난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대목. 【형태, 기능 및 특징】<가난타령>은 진양조장단에 계면조가 결합하여 깊은 슬픔의 감정을 노래한다. 진양조장단은 판소리에 사용되는 장단 중 가장 느린 장단으로 평온하거나 이완된 느낌의 대목 또는 슬

    작성일2014-11-16

  • 194

    [용어] 농현

    【정의】연주기법을 지칭하는 말로 특히 현악기의 왼손주법을 총칭한다.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등 현악기를 연주할 때 왼손으로 줄을 누르거나 흘러내리거나 또는 구르거나(전성) 흔들어서 줄의 장력 조절로 음의 높낮이를 조절하기도 하고 선율의 감정 표현을 하기도 하는데, 이를 총칭하는 말

    작성일2014-11-16

  • 193

    [용어] 내 고향의 봄

    【내용】박귀희가 작곡한 가야금 병창곡으로 중모리 8장단의 간결한 곡이다. 평조의 밝은 분위기로 시작되며, 두 장단 단위로 대구를 이룬다. 끝에는 ‘얼럴럴 얼럴럴 상사듸 요’의 후렴구가 붙는다. 임일남 작사의 노래말 내용은 다음과 같다. [뒷동산 살구나 꽂은/ 가지가지가 봄빛이요//

    작성일2014-11-16

  • 192

    [용어] 정악

    【정의】한국 전통음악의 한 갈래를 가리키는 말로 민속악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됨. 【유래 및 역사】정악이란 말은 바르고 정대한 음악으로, 예부터 아정한 음악이라는 뜻의 아악과 동일한 개념으로 쓰였다.(예: 박연이 올린 상소 중 “청정묘조정악소(請定廟朝正樂疏”) 조선 초기에는 중국을 문화의

    작성일2014-11-16

  • 191

    [용어] 풍류

    【정의】1. 전통 사회에서 자연의 경치를 감상하면서 시나 노래를 읊조리거나 애호가로 연주하는 등, 세속을 초탈하여 풍아(風雅)를 즐기는 것을 일컫는 말. 2. 대풍류, 줄풍류처럼 한국 전통음악의 한 갈래를 지칭할 때 쓰는 말. 【내용】조선조 중인층이나 선비 등 식자층이 풍류방(율방, 사랑

    작성일2014-11-16

  • 190

    [용어] 민속악장단

    【정의】민속악에 쓰이는 장단을 총칭하는 말. 【내용】한국 전통음악에서 장단은 리듬 구조와 관련된 것으로 리듬의 하위 개념이며, 리듬꼴들이 형성하는 구조(틀)라고 할 수 있다. 쌍(합장단: 떵), 편(채편: 덕, 딱, 기덕), 고(북편: 덩, 떵), 요(채편: 더르르르)와 같은 장구나 북의

    작성일2014-11-16

  • 189

    [용어] 민속악

    【정의】 한국 전통음악의 한 갈래를 가리키는 말로 정악에 대비되는 개념. 【유래 및 역사】우리나라에서 민속악이란 말이 쓰인 것은 20세기 이후이며, 옛날에는 향악과 같은 개념으로 속악이란 말을 썼다. 향악의 개념을 속악으로 표현한 것은 아악이나 당악을 높였던 사대부들의 사대주의에서 비롯되었다.

    작성일2014-11-16

  • 188

    [용어] 정대업

    【정의】보태평과 함께 종묘제례악을 이루는 큰 악곡의 하나. 【유래 및 역사】세종(1397~1450) 말년에 조종의 무공을 찬미하는 내용으로 만들어져 회례악으로 사용하다가 세조(1417~1468))때 개작, 축소되어 종묘제례악으로 제정되었다. 현재의 혁정(세종 때 순응)은 고려 시대 만전춘 가

    작성일2014-11-16

667건 (48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