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목록)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 207

    [곡명] 쑥대머리

    【정의】판소리 춘향가 중 춘향이가 옥에 갇혀 이 도령을 생각하며 탄식하는 대목. 【유래 및 역사】<쑥대머리>는 판소리 여러 대목 중 가장 많이 알려진 대목이다. 그렇게 되기까지는 20세기 전반 활동했던 명창 임방울의 역할이 매우 큰데, <쑥대머리>로 인해 임방울

    작성일2014-11-16

  • 206

    [곡명] 심청이 아버지와 이별하는 대목

    【정의】판소리 심청가 중 심청이가 제수로 팔려가는 날 아침에 아버지와 이별하는 대목. 【이칭(異稱)】부녀 영결 대목 【유래 및 역사】정노식의『조선창극사』에 의하면, <심청이 아버지와 이별하는 대목>은 조선 후기 철종과 고종 때의 판소리 창자인 김창록의 더늠이다. 초기에는 심청

    작성일2014-11-16

  • 205

    [곡명] 심술타령

    【정의】판소리 흥보가의 첫 대목으로, 놀보의 심술을 노래한 대목. 【형태, 기능 및 특징】빠른 자진모리장단 한 장단에 놀보의 심술 내용을 하나씩 열거하는 행태를 취하고 있다. 음악적인 면보다는 노랫말에서 나타나는 놀보의 심술이 주가 된다. 【내용】<심술타령>은 흥보가 초앞에서

    작성일2014-11-16

  • 204

    [용어] 소리북

    【정의】판소리에서 고수가 창자의 소리에 맞추어 장단을 칠 때 사용하는 북. 【이칭(異稱)】고장북, 백(白)북 【유래 및 역사】판소리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남부 지방에서는 백(白)북을 주로 사용하였고, 중부 지방에서는 단청(丹靑)북을 많이 썼다고 한다. 현재는 백

    작성일2014-11-16

  • 203

    [곡명] 사철가

    【정의】계절의 변화에 따른 세월의 흐름과 인생의 늙어감을 노래한 단가. 【이칭(異稱)】이산저산(‘이산저산 꽃이피니 분명코 봄이로구나’라는 노랫말로 시작하기 때문) 【유래 및 역사】<사철가>가 정확히 언제 생겼는지는 알 수 없으나, 대략 20세기 전반 무렵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작성일2014-11-16

  • 202

    [곡명] 사랑가

    【정의】판소리 춘향가 중 이 도령과 춘향의 사랑 놀음을 노래한 대목. 【유래 및 역사】사랑가 중 ‘만첩청산 늙은 범이’로 시작되는 <긴사랑가>는 조선 후기 순조 때의 명창인 송광록의 더늠이고, <자진사랑가>는 순조와 철종 때의 명창인 고수관의 더늠이다. 더늠이란 특정

    작성일2014-11-16

  • 201

    [곡명] 비단타령

    【정의】판소리 흥보가 중 흥보마누라가 두 번째 박에서 나온 비단의 이름을 열거하는 대목. 【유래 및 역사】판소리 흥보가 중 박타는 대목은 착한 흥보가 그 보상을 받는 대목이다. 박은 총 세 차례에 걸쳐 타는데, 첫 번째 박에서는 돈과 쌀이 든 궤짝이, 두 번째 박에서는 비단이, 세 번째 박

    작성일2014-11-16

  • 200

    [곡명] 변강쇠타령

    【정의】판소리 열두 마당의 하나였으나, 현재는 전하지 않는 변강쇠와 옹녀 이야기. 【이칭(異稱)】변강쇠가, 가루지기타령, 변강쇠전, 횡부가(橫負歌) 【유래 및 역사】정노식(鄭魯湜)의 『조선창극사(朝鮮唱劇史)』에 의하면, 변강쇠타령은 조선 말기의 명창인 가왕(歌王) 송흥록과 장자백이 잘 불

    작성일2014-11-16

  • 199

    [곡명] 범피중류

    【정의】판소리 심청가 중 심청이가 제수로 팔려 배를 타고 인당수로 가는 대목. 【이칭(異稱)】소상팔경(瀟湘八景) 【유래 및 역사】판소리 심청가에 <범피중류>가 삽입된 시기는 대략 19세기 중반 무렵이다.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 의하면 <범피중류>는 동편제 창자인 전도성

    작성일2014-11-16

  • 198

    [곡명] 만고강산

    만고강산

    【정의】우리나라 명승지를 노래한 단가. 【유래 및 역사】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단가 <만고강산>은 대략 조선 말기에 생긴 것으로 보인다. 20세기 전반인 일제강점기에 많이 불렸다. 【형태, 기능 및 특징】단가는 화평하고 꿋꿋하며, 경쾌하고 담담하게 부른다.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을 풀기 위한 단가의 기능상 많은 기교를 담거나 감정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맞지 않기 ...

    작성일2014-11-16

667건 (47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