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목록)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 217

    [곡명] 황성가는대목

    【정의】판소리 심청가 중 심 봉사가 맹인 잔치 참석을 위해 황성으로 가는 대목. 【이칭(異稱)】심 봉사 황성행, 심 봉사 황성 올라가는 대목 【형태, 기능 및 특징】심 봉사가 맹인 잔치에 참석하기 위해 황성으로 올라가는 대목은 길소리와 함께 많은 사건 전개를 포함한다. 심

    작성일2014-11-16

  • 216

    [곡명] 호남가

    【정의】호남의 여러 지명을 넣어 노래한 단가. 【유래 및 역사】<호남가>와 같이 지역명을 풀어 엮은 단가는 20세기 전반의 <경기가>가 있으며, 현재는 전하지 않으나 <충청가>도 있었다고 한다. 지역명가는 노래로 불렸든 글로만 존재하였든, 꽤 이른 시

    작성일2014-11-16

  • 215

    [곡명] 추천가

    【정의】판소리 춘향가 중 춘향이가 광한루에서 그네를 타는 대목. 【이칭(異稱)】춘향추천가 【형태, 기능 및 특징】춘향이가 그네를 타는 대목인 <추천가>는 이 도령의 눈에 비친 춘향의 모습을 노랫말에 묘사하고 있다. 음악적으로는 앞뒤로 세차게 오가는 그네의 형상과

    작성일2014-11-16

  • 214

    [곡명] 천자뒤풀이(춘향가 중)

    【정의】판소리 춘향가 중 이 도령이 춘향을 생각하며 천자문을 읊는 대목. 【이칭(異稱)】천자풀이, 천자문가(千字文歌) 【유래 및 역사】<천자뒤풀이>는 조선 후기 판소리 창자인 김세종과 장자백의 두 가지 더늠이 있다. 더늠이란 특정 명창이 자신의 스타일로 새롭게 구

    작성일2014-11-16

  • 213

    [곡명] 진국명산

    【정의】서울의 빼어난 산세와 나라의 태평을 노래한 단가. 【유래 및 역사】<진국명산>은 단가 중 비교적 연원이 오랜 곡이다. 일제 때 널리 성행하여 여러 명창들이 음반에 취입하였으며, 요즘도 많이 부르고 있다. 근대 5명창의 한 사람으로 20세기 전반에 활동하였던 명창 송만갑

    작성일2014-11-16

  • 212

    [곡명] 제비노정기

    【정의】판소리 흥보가 중 흥보에게 은혜를 입은 제비가 선물할 박씨를 물고 흥보네 집으로 다시 날아오는 대목. 【유래 및 역사】<제비노정기>는 김창환과 장판개의 두 가지 더늠이 있다. 더늠이란 특정 명창이 자신의 스타일로 새롭게 구성한 판소리의 한 대목을 말하는 것으로, 노

    작성일2014-11-16

  • 211

    [곡명] 제비후리러나가는데

    【정의】판소리 흥보가 중 놀보가 제비를 잡으러 나서는 대목. 【이칭(異稱)】제비몰러나가는데, 제비가 【유래 및 역사】흥보가 중 <제비후리러나가는데> 대목은 조선 시대 영조와 정조 때의 명창인 권삼득의 대표적인 더늠이다. 더늠이란 특정 명창이 자신의 스타일로 새롭게

    작성일2014-11-16

  • 210

    [곡명] 옥중가

    【정의】판소리 춘향가 중 춘향이가 옥에 갇혀 탄식하는 대목. 【이칭(異稱)】동풍가, 몽중가, 황능묘(옥중가는 다양한 더늠과 노랫말을 갖고, 노랫말에 따라 여러 이칭을 사용함) 【유래 및 역사】<옥중가>를 부른 판소리 창자 중 으뜸은 조선 시대 순조 ? 헌종 ?

    작성일2014-11-16

  • 209

    [곡명] 어화둥둥 내 딸이야(심청가중)

    【정의】판소리 심청가 중 심 봉사가 어린 딸 청이를 어르는 대목. 【형태, 기능 및 특징】심 봉사가 어린 심청을 어르며 부르는 <어화둥둥 내 딸이야>는 중중모리장단과 자진모리장단의 두 대목으로 나뉜다. 중중모리장단 대목은 우물가 젖동냥 대목에 연결되어 간략하다. 자진모리장단

    작성일2014-11-16

  • 208

    [곡명] 암행어사출두

    【정의】판소리 춘향가 중 이 도령이 어사가 되어 출두하는 대목. 【유래 및 역사】어사출도 【형태, 기능 및 특징】<암행어사 출두> 대목에서는 “본관의 생신잔치날 이 도령이 어사가 되어 출두하였다.”의 한 문장으로 설명이 충분한 상황을 다양한 문학적 수식과 음악적

    작성일2014-11-16

667건 (46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