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목록)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 237

    [곡명] 계락

    【정의】전통 가곡 중 계면조로 부르는 악곡의 하나. 【유래 및 역사】가사는 《청구영언(靑丘永言)》·《가곡원류(歌曲源流)》 등에 전하며, 옛 악보로는 《유예지(遊藝志)》·《현금오음통론(玄琴五音統論)》 등에 실려 있다. 가곡 창사의 작자는 김묵수(金?壽, 연대 미상)로 알려져 있고, 경정산(敬亭

    작성일2014-11-16

  • 236

    [곡명] 해주아리랑

    【정의】서울 지방의 <아리랑>에서 파생해 나온 신민요 <아리랑>의 한 가지. 【이칭(異稱)】<아롱타령>과 같은 노래. 【유래 및 역사】오늘날 불리는 <아리랑> 노래의 대부분은 1926년 나운규가 제작한 영화 <아리랑>의 영향으로 생겨났다

    작성일2014-11-16

  • 235

    [곡명] 춘면곡

    【정의】전통 성악 갈래인 12가사에 속하는 노래. 【유래 및 역사】[청구영언]을 비롯하여 [고금가곡], [남훈태평가], [협률대성], [대동풍아](1908) 등 거의 모든 가집에 <춘면곡>의 노랫말이 수록되어 전한다. 19세기 중엽 <춘면곡>은 옛날 조가 더 이상 불

    작성일2014-11-16

  • 234

    [곡명] 죽지사

    【정의】조선 후기 발달하여 전승되고 있는 전통 성악곡인 12가사 가운데 한 곡. 【이칭(異稱)】“건곤불로(乾坤不老)”로 시작되는 첫 구를 따서 <건곤가(乾坤歌)>라고도 함. 【유래 및 역사】가사 <죽지사>는 19세기 말엽의 가집인 가람본 [가곡원류]에 처음 보이므로,

    작성일2014-11-16

  • 233

    [악기] 자바라

    【정의】금속으로 만든 편편한 두 개의 접시 모양 중앙에 각각 끈을 달아 한 개씩 들고 마주쳐 소리를 내는 금속 타악기. 【이칭(異稱)】바라, 동발, 향발, 발(?), 제금 등으로 형태와 이름이 조금씩 다르며, 군악에서는 ‘자바라’라고 부름. 【유래 및 역사】 인도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작성일2014-11-16

  • 232

    [용어] 입창

    【정의】야외에서 서서 부르는 소리로서 전문적인 소리패들에 의해 전승되어 온 성악 갈래. 【이칭(異稱)】서서 부른다 하여 ‘선소리’라고 하며, 산천경개를 노래한다고 하여 ‘산타령’이라고도 함. 【유래 및 역사】입창은 노래의 성격과 노랫말 및 문헌 자료 등을 통해 조선 후기의 유랑 예인 집단인

    작성일2014-11-16

  • 231

    [곡명] 유산가

    【정의】서울 지방에서 불리던 12곡의 긴 잡가(일명 경기좌창) 가운데 한 곡. 【유래 및 역사】<유산가>는 19세기 말엽으로 추정되는 [시철가]에 처음 가사가 수록되어 있어 12잡가 가운데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불리기 시작한 사실을 알 수 있다. 20세기에 들어 여타 잡가와 함께

    작성일2014-11-16

  • 230

    [악기] 운라

    【정의】놋접시 모양의 소리판 열 개를 네모난 나무틀에 매달아 채로 치는 금속 타악기. 【이칭(異稱)】구운라(九雲?), 운오(雲?). 동라(銅?) 【유래 및 역사】운라(雲?)의 ‘라(?)’는 징과 같은 둥근 타악기를 가리키는 말로, 작은 징을 여러 개 매단 모습이 구름과 같다 하여 ‘운라

    작성일2014-11-16

  • 229

    [악기] 용고

    【정의】군악인 <대취타>에 쓰이는 휴대용 북으로, 북통에 용의 그림이 있는 타악기. 【유래 및 역사】용고와 유사한 형태는 고려 시대 ‘행고(行鼓)’ 또는 ‘강고(?鼓)’라는 이름의 악기에서도 볼 수 있다. 조선 시대에도 행악에 관련한 ‘행고(行鼓)’ 또는 ‘고(鼓)’에 대한 기록이

    작성일2014-11-16

  • 228

    [곡명] 어부사

    【정의】전통 성악곡인 12가사 가운데 한 곡. 【유래 및 역사】12가사 가운데 가장 연원이 오랜 노래로 유명하다.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어부>라는 시를 바탕으로 고려 시대에 12장의 <어부사>가 지어졌고, 조선 중종 때의 문신 이현보(1467~1555)가 이를

    작성일2014-11-16

667건 (44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