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목록)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 247

    [곡명] 봉황대상(사설지름시조)

    【정의】가곡 · 시조 · 시창의 노랫말로 쓰이는 중국 당대(唐代)의 시인 이백(李白)이 지은 한시. 【이칭(異稱)】등금릉봉황대(登金陵鳳凰臺) 【유래 및 역사】이백이 최호(崔顥)의 ‘등황학루(석인이승)’를 읽고, 감탄하여 지은 시로 알려져 있고, 봉황대의 전설과 현재 눈앞의 자연을 묘사함으

    작성일2014-11-16

  • 246

    [용어] 변조

    【정의】본래의 조를 바꾸어 새로운 조를 만드는 방법 또는 새로운 조로 연결하거나 새로운 악곡을 만드는 방법. 【이칭(異稱)】전조(轉調), 길바꿈, 조바꿈 등의 용어가 쓰이기는 하나, 변조는 서양음악의 개념과 다르며, 길바꿈과 조바꿈은 변조(變調) 전부를 아우르는 명칭은 아님. 【유래 및 역

    작성일2014-11-16

  • 245

    [용어] 반우반계

    【정의】가곡에서 한 곡 안에 우조와 계면조가 같이 들어 있는 것. 【이칭(異稱)】평조-전-계면조(平調-轉-界面調) 【내용】가곡의 음계는 우조, 계면조, 반우반계로 나눌 수 있는데, 우조는 황(黃)에서 쌓아 올려 만든 평조 선법을 가리킨다. 남창 가곡 중 <반엽>과 <편락>

    작성일2014-11-16

  • 244

    [인명] 박연

    【정의】조선 세종 때 아악을 정비한 음악가. 【유래 및 역사】1378(우왕 4)~1458(세조 4). 【내용】본관은 밀양. 초명은 연(然). 자는 탄부(坦夫), 호는 난계(蘭溪). 왕산악(王山岳)·우륵(于勒)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으로 불린다. 그의 음악 관련 업적은 세종 때에 이루어졌으

    작성일2014-11-16

  • 243

    [용어] 모음곡형식

    【정의】여러 곡을 모아 하나의 대곡(大曲)을 이루는 악곡 형식. 【내용】작은 소곡(小曲)을 이어서 연주하는 형태의 악곡 형식을 가리키며, 각각의 소곡은 독립적으로 연주되기도 한다. <영산회상>의 소곡은 서로 발생 과정에서 선후의 관계에 있기도 하고, 관계없는 소곡이 모여 있기도 하다

    작성일2014-11-16

  • 242

    [곡명] 동창이

    【정의】남구만(南九萬)이 지은 시조 시. 【유래 및 역사】약천(藥泉) 남구만은 1689년(숙종 15년)에 장희빈 소생인 균의 세자 책봉을 반대하다가 강릉으로 귀양을 갔으며, 동해시 망상동 심곡마을에 약천(藥泉)이란 샘물이 있음을 기이하게 여겨 이곳에서 유배 생활을 하였다. 1690년 봄에 심곡

    작성일2014-11-16

  • 241

    [용어] 당악

    【정의】통일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중국(당·송)에서 유입된 중국 속악의 통칭. 【유래 및 역사】664년(문무왕 4)에 ‘성천(星川)과 구일(丘日) 등 28명을 웅진부성(熊津府城:현재 공주시)에 보내어 당악을 배우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이때의 당악은 당(唐)나라의 음악을 가리키는 것

    작성일2014-11-16

  • 240

    [용어] 다스름

    【정의】악곡을 연주하기 전에 음악의 속도와 음률, 호흡을 고르기 위해 짧은 곡조를 연주하는 일 또는 그 악곡. 【이칭(異稱)】조음(調音), 치음(治音) 【유래 및 역사】다스름이 수록된 가장 오래된 악보는 1610년(광해군 2)에 악사 양덕수(梁德壽)가 엮은 《양금신보(梁琴新譜)》이다. 이

    작성일2014-11-16

  • 239

    [곡명] 낙양삼월

    【정의】사설시조로 불리는 시조 시. 【이칭(異稱)】사설시조는 ‘엮음[編]시조’ · ‘주음시조’ · ‘주심시조’ · ‘줍는시조’ · ‘좀는시조’ · ‘습(拾)시조’ 등으로 불림. 【내용】사설시조는 평시조와 같은 장단에 한 박에 2~4자까지 넣어 많은 가사를 부른다. 따라서 촘촘한 가락으로 주워

    작성일2014-11-16

  • 238

    [용어] 긴 자진 형식

    【정의】한배가 느린 음악과 빠른 음악이 짝을 이루는 형식. 【이칭(異稱)】‘한배에 따른 형식’의 하나이며 주로 기악곡과 성악곡에 사용됨. 【내용】느린 곡을 먼저 부르고 차츰 빠른 한배의 짝이 되는 곡을 이어서 노래하며, 노동요 등의 민요나 잡가 등 민속 성악에서 주로 쓰인다. 긴 자진 형식

    작성일2014-11-16

667건 (43 / 67페이지)